프란치스코와 프란치스코 - 세계를 뒤흔든 교황, 그 뜨거운 가슴의 비밀
김은식 지음, 이윤엽 그림 / 이상한도서관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리나라를 방문하면서 우리가 선물받았던 치유와 희망의 여운이 가슴에 아직 훈훈하게 남아있는 것을 느끼며 이 책을 펴 들었다.

평생을 가난한 사람들의 벗으로 살았던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삶과, 역사상 최초로 그의 이름으로 자신의 교황명을 지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이 잔잔하게 펼쳐진다. 이윤엽 작가 특유의 소박하고 정감 있는 목판화 삽화도 책의 내용과 잘 어울리는 느낌을 준다.

 

오늘날 우리 곁에서, 병든 이와 가나한 이들의 친구로서 인자하게 미소짓고 있는 교황의 모습을 보며, 800년 전 자신의 모든 것을 벗어던지고 세상에 버림받은 이들과 평생을 함께했던 한 성자의 모습이 겹쳐진다. 두 프란치스코는 그들의 삶을 통해 우리에게 질문하고 있다. 당신이 다른 이들에게 준 사랑은 얼마만큼이었던가? 고통을 얼마나 줄일 수 있었던가?

 

보통 대교구장 같은 고위 성직자들의 경우에는 본당의 신부들과 달리 신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가 많지 않다고 한다. 관할해야 하는 성당도 여러 곳이고 성직자들도 굉장히 많으므로 그와 관련된 일들을 처리하는 것만 해도 늘 바쁘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대주교, 추기경 시절부터 늘 신자들 뿐 아니라 도시의 가장 가난하고 소외받은 이들과 부대꼈다고 한다. 전용 고급 승용차 대신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평범한 시민들과 늘 함께 했고, 명절이나 휴일 때마다 직접 요리한 음식을 가지고 빈민가나 병원을 찾아 함께 파티를 즐겼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이 푸근해졌다.

 

때로는 천 년 전 프란치스코가 아시시의 나환자 마을을 찾아가 나환자들의 발을 씻겨 주었던 것처럼,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에이즈 병동을 찾아가 환자들의 발을 씻겨주고 입을 맞추기도 했다는 프란치스코 교황. 때로는 밤에 옷을 갈아입고 몰래 거리로 나가 노숙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음식을 나누어 먹기도 했다고 하니... 교황이 된 후에도 그와 노숙인들과의 은밀한 밤 만남은 계속되었다고 한다. 심지어 교황이 된 뒤 처음으로 맞이한 77번째 생일이었던 2013년 12월 17일, 교황의 아침 식사에 초대된 것은 교황청 근처 거리에서 잠을 자던 세 명의 노숙인과 그들 중 한 사람이 데리고 있던 개였을 정도라고 하니, 그의 가난한 이웃에 대한 사랑은 얼마나 격의 없고 진실된 것인가.

 

대형 사고가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을 때마다 가장 먼저 달려갔고 발 벗고 나서서 피해자들을 도왔던 교황. 관습과 타성에 젖은 일부 성직자들이 미혼모의 자녀들에게 세례를 주지 않았을 때 공개적으로 질타했던 교황. 우리 사회가 만들어 내는 부끄럽고 끔찍한 문제들을 똑바로 보고 함께 행동해 주기를 요구하는 교황... 가슴을 쓸어내리게 하는 비극과 참상들로 가득한 세상, 점점 각박해지고 살기 힘든 사람살이이라고 하지만 이런 어른이 우리 곁에 있다는 사실에 감사할 뿐이다.

'돈은 봉사의 수단이지 지배자가 되어서는 결코 안 됩니다'(178쪽)라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목소리를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그래서 저마다 자신의 욕심 그릇을 줄이고 어렵고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면, 타인에 대해 진심어린 따뜻한 환대를 실천할 수 있다면, 세상은 조금 더 다른 곳이 되지 않을까. 나를 돌아보고 어떤 삶이 가치있는 삶인지를 생각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