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이 준 선물 - 아빠의 빈 자리를 채운 52번의 기적
사라 스마일리 지음, 조미라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여기에 요리하는 것도 수다 떠는 것도 싫어하는, 그다지 사교적이지 않은 성격을 가진 세 아이의 엄마가 있다. 오죽하면 '저녁식사에 사람을 초대해 놓고는, 손님이 오기 직전에 지하로 숨어버렸으면'(9쪽)하고 생각하기까지 했을까. 그런 그녀가 남편이 아프리카로 파병나가 있는 52주 동안, 한 주도 거르지 않고 저녁식사에 손님들을 초대했다. 낡은 나무식탁 앞에 앉아, 기꺼이 남편과 아빠의 빈 자리를 채워준 손님들, 매주 새로운 손님들을 만나고 새로운 경험 속에서 조금씩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과 엄마의 이야기가 따스하다. 가족의 성 '스마일리(Smiley)'처럼, 책장을 넘기면서 저절로 미소지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스마일리 가족의 첫 저녁초대 손님은 첫째아들 포드가 편지를 보냈던, 메인주의 상원의원이었다. 상원의원실에서 저녁 초대에 응하겠다는 연락이 온 후, 처음 의젓하게 상원의원을 초대했던 포드는 갑자기 마음이 바뀐다. 초대를 취소하고 싶어하기도 하고,'우리를 불쌍하게 생각해 참석하는 저녁식사 자리에는 가지 않을 거예요'(41쪽)라고 주장하며 엄마의 애를 태운다. 그러나 엄마는 아들을 윽박지르거나 엄마의 기대를 강요하지 않고(대단하다!) 아들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결정했다. 아이들을 위한 아이디어였다면 아이들의 생각을 따르기로. 아이들을 자랑하거나 아이들에게 예절을 가르치쳐는 것이 아니었다. 학교에서 하는 프로젝트도 아니고 실험도 아니었다. 단지 아이들에게 주는 선물이었다. 선물은 기대를 하면 안 된다. 저녁식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했다.'(42쪽)

 

그렇게해서 '저녁식사를 너무 근사하게 만들려고 하지 않겠다'는 약속 하에 상원의원과의 첫 저녁식사가 시작된다. 아이들과의 약속을 너무 굳게 지킨 나머지, 식탁 예절을 미리 가르치지 않은 엄마가 상원의원이 도착하고 나서야 '똥 얘기를 하거나 뽕뽕 쿠션으로 장난치면 안 된다'고 뒤늦게 허둥대며 주의를 주는 모습, 아이들이 상원의원이 선물로 가져온 직접 구운 브라우니에서 호두를 다 골라내 식탁에 쌓아둔 것을 보고 숨이 턱 막힌 모습(의원을 보며 얼마나 민망했을까)이 상상이 갔다.

역시 아이들은 천진난만하다. 어른들의 관점이나 잣대와는 상관없이, 거리낌없이(너무 거리낌이 없어서 가끔 탈이긴 하지만^^;) 그냥 마음에서 느낀대로 '스마일리 가족과의 저녁식사'의 초대손님들을 대한다. 아이들에게는 상원의원도 그냥 친절한 아줌마였을 뿐이었다. 그 후 학교 선생님, 이웃에 사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전 주지사, 경찰서장, 동물원장, 일러스트레이터, 연방보안관, 라디오 진행자, 메이저리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등 수많은 다채로운 사람들과 함께 저녁식사는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엄마와 아이들은 종종 서로의 마음에 생채기를 내기도 하고, 잠시 등을 돌리다가도 다시 보듬어안고, 결국은 서로를 이해하면서 성장해간다.

 

책장을 넘기며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오래된 아프리카 속담이 문득 떠올랐다. 정말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이다. 세 아이의 엄마, 사라 스마일리는 남편 없는 시간동안 혼자만의 힘으로 아이들을 키운 것이 아니었다. 이웃과 친구들, 지역사회의 많은 이들이 함께 이 가족을 지지해주고 함께 해주었다. 현관에 음식을 놓고 가고, 망가진 울타리와 물이 새는 창문을 고쳐주고, 추수감사절이나 아버지의 날에 초대해주고, 아이가 한밤중에 고열에 시달릴 때 돌봐준 것을 세 아이의 엄마는 회상한다.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내어 우리 이야기를 들어주고, '어떻게 지내는지','필요한 것은 없는지' 물어봐 주었다.'(400쪽)

그래서 마지막 52번째 저녁식사는 그동안 도움을 준 이웃들을 한꺼번에 초대하기로 한다. 아이들은 지난 일 년 동안 자신들을 도와준 사람들을 위해 서빙을 하고, 엄마는 그 모습을 행복하게 지켜본다. 그 어떤 유명인을 초대한 것보다 더 뜻깊은 저녁식사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눔과 감사에 대해, 함께 도우며 살아간다는 의미에 대해 아이들 스스로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다들 너무나 바쁘게, 삭막하게 산다. "언제 밥 한번 같이 먹자", 지나가는 말처럼 그냥 쉽게 말을 던지지만 막상 실천에 옮기기는 쉽지 않다고 끊임없이 정당화(?)하며 산다. 과연 무엇을 위해 이렇게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가족과 이웃, 친구와 함께 식사를 즐기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조차 아까워하면서... 그렇게 함께 나누는 시간이 진짜 인생에서 의미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해 주는 책이다.

책장을 덮으며, 기꺼이 시간을 내어 누군가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고, '어떻게 지내?', '내가 뭐 도와줄 것 없어?' 물어보는 것에 인색하지 않은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나에게만, 내 가족에게만 관심을 갖지 말고 마음을 다해 다른 이들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것, 이웃과 친구들이 처한 어려움을 같이 느끼고 작은 도움이라도 건네는 것... 따스한 봄볕을 쬔 듯 마음이 훈훈해지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