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 친구 남녘 동무 - 통일이 되면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원유순 지음, 이욱재 그림 / 국민출판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2학년 때쯤이었나. 이 동화의 설정처럼, ‘만일 통일이 된다면 우리 학교, 우리 반의 모습은 어떨까하는 상상을 (꽤 골똘히) 해봤던 적이 있었다. 그때만 해도 정기적으로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용감히 외쳤다는 이승복 어린이를 기념하는 웅변대회를 하고, 방학숙제로 반공글짓기같은 것을 해 갔던 때라 그런 상상 자체가 꽤 발칙한 것처럼 느껴졌었는데... 아무튼 그 후 세상이 많이 변하고, 이제 더 이상 반공교육은 없다. 하지만 그런 상상을 했던 때, 막연하게 어른이 되면 가까워지리라고 생각했던 통일은 아직 요원해 보이기만 한다.

 

2015, 생각보다 일찍 통일을 이룬 한국의 초등학교 5학년 2반 교실. 통일 이후 혼란스럽기만 한 어른들의 세계 못지않게, 아이들의 세계도 좌충우돌의 연속이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60년이라는 짧지 않은 세월 동안 벽이 막힌 채로, 서로 다른 제도, 다른 관습, 다른 생각과 다른 말투로 살아왔으니 그 틈새가 하루아침에 쉽게 메워질 리는 없는 것이다. 서로를 바라보는 낯선 시선 속에서 오해가 쌓이기도 하고, 남쪽 북쪽 편을 갈라 서로를 헐뜯고 업신여기기도 하고, 뜻하지 않게 상처를 주고받기도 하고...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생채기는 조금씩 아물고, 아이들은 어떻게 마음을 열고 서로를 받아들여야 하는지 서서히 배워나가기 시작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무엇보다 마음에 들었던 것은, 아이들이 읽는 동화라고 해서 작가가 통일 한국의 미래상을 마냥 좋게만 그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실의 삶과 고민이 빠진 채 아이들에게 섣부른 장밋빛 미래를 제시한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넘어야 할 길이 많다는 것을 직시하게 한다. 그러나 그 길이 아무리 멀고 험하다 하더라도 우리가 함께 걷는길이라는 것, 그렇기에 희망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관념 속에서가 아닌, 피부로 느끼는 일상으로서의 통일... 그 일상의 풍경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이 책의 삽화도 참 따뜻하고 정감 있다. 특히 마지막, 남북 어린이 성화주자의 마지막 불꽃이 모이는 장면을 보며 가슴이 벅찼다. 언젠가 이 불꽃처럼 남북이 서로 아름답게 어우러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