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의 독서 전략 - 21세기 글로벌 인재를 키우는
권영식 지음 / 글라이더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물론, 각종 읽을거리들이 너무나 흔해서 넘쳐나는 세상에서 살다보니 오히려 그 가치에 둔해지거나 심지어 무감각해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나도 습관적으로 책을 읽지만, 어렸을 적처럼 ‘책을 한권 읽고 세계가 바뀌었던 경험’이랄까, 그렇게 책 한 권이 나에게 어떤 의미와 변화를 주었는가를 곱씹는 일이 갈수록 적어지는 듯하다. 이때 다산이 둘째 아들 학유에게 썼다는 편지의 이 구절이 가슴에 와 닿는다.
네가 양계를 한다고 들었는데 양계란 참으로 좋은 일이긴 하다만 이것에도 ...(중략)... 차이가 있다. 농서를 숙독하고 좋은 방법을 실험해보아라. 색깔을 나누어 길러도 보고, 닭이 앉는 홰를 다르게도 만들어보면서 다른 집 닭보다 살찌고 알도 잘 낳을 수 있도록 길러야 한다. 또 때로는 닭의 정경을 시로 지어보면서 짐승들의 실태를 파악해보야야 하느니, 이것이야말로 책을 읽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양계다...(중략)...아무쪼록 앞으로 많은 책 중에서 닭 기르는 법에 관한 이론을 뽑아내어 계경 같은 책을 하나 만든다면...(59쪽)
세상에. 아들이 닭을 친다는 소식을 접하고 어느 아비가 이런 글을 보낼 수 있었을까. 역시 백성을 위한 실학에 일찍 눈을 뜬 다산답게, 양반의 후손인 아들이 닭을 치는 것에 대한 일언반구 회한이나 서글픔 같은 것은 눈 씻고 찾아볼 수가 없다. 대신에 무작정 생업에 몰두하는 양계가 아닌, 농서를 읽고 여러 방법들을 실험하는 양계를 하라고 한다. 닭을 주제로 시도 써 보라고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양계를 하는 백성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읽은 책과 실제로 실험해 본 것들을 바탕으로 닭 기르는 법을 다루는 책을 한 권 만들라 한다. 이런 식으로 우리가 책 한 권을 말 그대로 골수까지 우려먹는다면(^^;), 책 한 권의 생명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것을 고민하게 된다면... 이 세상은 얼마나 달라질 것인가.
책을 한 권 읽으면 반드시 그 책으로 말미암아 백성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다산. 9명의 자식 중 6남매를 천연두로 잃었으면서도 그 슬픔을 그대로 묻어두지 않고 백성들이 더 이상 질병 때문에 고통당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천연두에 대한 숱한 책들을 읽고 정리해 책을 쓴 다산. 일생의 많은 기간을 외롭게, 억울한 유배생활로 보내면서도 그런 마음으로 끊임없이 책을 읽고 썼을 그를 생각하니 숙연해진다.
18년 동안 500여권의 책을 집필한 다산의 저력은 무엇보다 책읽기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는 저자의 생각에 끄덕이며 다산의 독서법을 좇아가는 여정은 무척 즐거웠고, 또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다산이 책에서 만났던 스승들, 누구보다 다산을 아꼈던 학자 군주 정조, 진심으로 아꼈던 제자 황상과 다산의 인연을 읽으며 흐뭇하기도 했다. 또 책의 뒷부분에는 양응수, 박지원, 이덕무, 홍대용, 박제가 등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독서법과 여러 명사들의 독서법도 소개되어 있어 좋았다. 세세한 독서의 실천사항들은 다 제각기 다양했지만, 모두 진지하고 치열하게 책을 통해 자신의 삶을 충만하게 일구어간 이들...
누구든지 책을 쉽게 접하고, 읽을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하지만 어떤 마음과 자세로 읽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진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다시 깨달을 수 있었다. 나도 책에서 감명깊게 읽은 구절은 노트에 베껴쓰던 습관이 있었는데, 하다가 중단하다가 또 생각나면 하다가 해서 아직 몇 권 되지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앞으로는 꾸준히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그래야 내 독서도 생명을 얻고 무언가 결실을 이뤄낼 수 있게 될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