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가 간절한 서른에게
김해련 지음 / 초록나무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고 있던 중에 친구에게서 온 전화를 받았다. 육아휴직을 끝내고 전 직장으로 복귀한 그 친구의 소식이 안 그래도 궁금하던 참이었다. 아직 복귀한 지 한 달밖에 되지 않았는데, 깊은 한숨부터 푹 쉰다. 어린이집에 맡긴 아이에 대한 염려, 집안일과 육아로 슈퍼우먼이 되어야 하는 고충도 적지 않지만, 가장 그녀에게 절실한 고민은 직장에서 믿고 의지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었다. 회사일이 무척 분주한 상황에서, 어린이집에 아이를 데리러 가야하기에 ‘칼퇴근’하는 그녀를 보는 눈이 곱지 않다는 말을 하며 “꼭 이렇게까지 하면서 일을 해야 하는지” 회의가 든다고 했다. 자기 분야에서 전문가가 될 거라고 눈을 반짝이던 친구의 예전 모습이 생각나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다.

<멘토가 간절한 서른에게>.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내 친구에게 이 책의 저자같은 멘토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저자 김해련은 22년간 기업을 운영하며 2천 명이 넘는 여성후배들을 진심 다해 멘토링해왔다고 한다. 저자 스스로가 온몸으로 부딪치며 치열하게 문제해결을 해온 경험들이 녹아 있어서 목소리에 진실성이 느껴졌다. 뜬구름 잡는 것 같은 조언이 아니라, 만만치 않은 현실에 부딪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심리와 인간관계, 일과 자기계발, 육아문제, 삶과 꿈에 대한 깊이 있는 조언들.

특히 나에게 와 닿았던 대목은 서른이 ‘뿌리를 점검할 시간’이라는 조언과 ‘그릇 사이즈를 키우는 네트워크’를 해야 한다는 조언이었다. 이제 겨우 3분의 1 지점이 지났을 뿐인데 벌써부터 내 인생의 방향이나 결과가 확정된 것처럼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는 말에 정말로 공감했다. 입시 경쟁, 스펙 경쟁, 취업 경쟁... 우리는 너무나 빡빡한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살아오면서 지금 당장의 성과가 마치 내 인생 전체를 평가한다고 단정 지어 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지금껏 키워져 왔고 또 앞으로 뻗어갈 나의 뿌리는 건강한지 차분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 울림이 깊다. 나의 가치관, 자존감, 사고방식, 위기를 극복하는 힘이 이루고 있는 나의 뿌리. 일상에서 내 뿌리가 튼튼하고 굳건하게 자라도록 나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앞으로 해 나가야 할 노력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 직장인들이 흔히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사람들을 사귀고 소통한다는 말은, 부끄럽지만 지금의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말이었다. 곰곰 생각해보니 나도 편하다는 이유로, 오래 알고 지냈다는 이유로 나와 비슷한 환경의 익숙한 사람들하고만 알고 지내려는 경향이 어느새 몸에 배인 것 같다. 그래서 저자의 다음과 같은 조언을 마음 속에 새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진정으로 나의 커리어를 향상시키고 싶다면 수다로 푸는 네트워킹을 과감히 바꾸어야 한다. 하소연이나 푸념 혹은 수다로는 세상의 흐름,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기 어렵다. 나만의 우물에서 벗어나 분야가 다른 사람들과도 만나 어울리는 네트워크를 가질 때, 진정한 창의력이 나오고 삶의 관점도 넓어지고 풍요로워진다.”(p.149) 
 

힘든 현실에서도 자신의 꿈을, 성장을 포기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내 친구를 비롯한 직장여성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남들은 고민하지 않고 승승장구하며 사는 것 같은데 왜 나만 이렇게 모든 일이 고달픈지 속이 상할 때가 많지만, 사실은 다들 힘겨운 시간들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진심어린 조언을 해주는 멘토를 책으로 만나는 시간은 그래서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바라건대 다들 힘내기를, 지치지 않고 굳세게 자신의 길을 나아가기를.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