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산새처럼 살고 싶다 - 20그램의 새에게서 배우는 가볍고도 무거운 삶의 지혜
도연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너무나 사랑스러운 책이다. 일요일 오후 볕을 쬐면서 읽다가 스님과 새들이 알콩달콩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에 깔깔 웃음보도 터뜨리고, 마음 먹먹해져서 잠시 눈을 감고 있기도 하고... 이렇게 한바탕 난리치면서(?) 읽고 있으니 옆에서 그림 그리던 딸아이가 무슨 책이냐고 호기심을 보였다. 아직 한글을 다 익히지 못한 아이에게 사진을 보여주면서 이 새는 동고비야, 박새야, 개개비야, 곤줄박이야, 딱새야... 하고 이름을 가르쳐주었더니, 너무나 좋아하며 한참을 들여다본다.
새를 좋아해서 집에 조류도감도 있지만 스님이 찍으신 사진들은 뭔가 느낌이 다르다. 새들의 표정이나 자세(?)가 다양하고, 생동감 있고, 귀엽다. 스님과 함께 생활하는 사진들이 색다르기도 하고... 법당 안에서 신나게 놀다가 연등 위나 목탁 속에 들어가 곤히 잠든 새들이라니.
새들에게서 무소유와 순수함, 진정한 자유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깨우치며 “새들은 나에게 소중한 도반이며 부처이다”라고 말하는 스님. 새들도 스님의 마음을 알지 않았을까. 스님의 TV 리모컨 위에 앉아서 잠들었다가(건드리면 깰 것 같아 스님은 TV도 못 켜셨다고 한다) 사흘째 되던 날 눈을 감은, 새끼를 키우느라 지쳐 깃털에 윤기가 사라진 동고비. 짝이 매에게 잡아먹힌 후 스님이 굴 속에 있는 새끼들이 굶어 죽을까봐 어미의 사진을 붙여놓는 등 애를 쓰자, 기운을 차리고 새끼들에게 미꾸라지를 먹이기 시작한 청호반새...
불교에서는 모든 이가 부처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 불성이 깃들어 있으니 생명 자체를 부처로 보고 부처로 모시면서 살아야 한다고 하는데, 스님의 일상이 바로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비밀의 정원’에서 새들 아침 공양을 올리고 아침을 드시고, 둥지 터가 부족해 방황하는 새들에게 정성들여 새둥지를 만들어주며 ‘내가 살 집을 만드는 것처럼 훈훈하다’고 하시고, 멧돼지와 고라니, 너구리와도 기꺼이 끼니를 나누는 삶.
스님이 풀어놓으시는 산새들과의 맑은 이야기들을 읽으며 나도 어느새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이 들었다. 술술 읽히는 책이지만 천천히 야금야금 아껴가며 읽었다.^^;
가을이 슬슬 끝자락에 접어들고 있다. 나는 그동안 새둥지는 번식기인 6,7월에 걸어주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는데, 전문가 스님은 겨울이 오기 전에 걸어주는 것이 좋다고 하신다. 그래야 새들이 인공 둥지에 익숙해지고 겨울밤 추위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다음 주말엔 자투리 나무로 서툴겠지만 정성껏 새둥지를 만들어서, 딸아이 손을 잡고 인근 숲에 가서 달아야겠다. 누가 분양받게 되려나, 생각하니 웃음이 절로 난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