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험경제학 - '보이는 손'으로 시장을 지배하라
로스 M. 밀러 지음, 권춘오 옮김, 한경동 감수 / 일상이상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실험경제학”이라는 처음 말을 들어본 적이 언제였더라? 2,3년 전이었던가, 우리가 9900원과 10,000원 중에서 100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9900원을 ‘훨씬’ 싼 가격으로 인식한다는 것, 1만5000원과 1만5490원 중에서 후자를 더 저렴하다고 생각하기 쉽다는 것... 사람들에겐 뒷자리가 복잡한 숫자를 더 작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이런 착오를 일으킨다는 것을 실제 미국의 한 대학에서 실험하여 증명했다는 연구 결과의 기사를 읽고 흥미롭게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하니 그 기사가, 최근 주목받는 행동경제학에서도 최첨단 영역이라 일컬어지는 실험경제학에 대한 것이었던 것 같다.
이렇게 정통 경제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정인 ‘합리적인 인간’에 대해 반기를 들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 양식을 분석하고 현실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학문이 실험경제학이다. 이 책은, 실험경제학의 창시자이며 평생 동안 실험경제학을 연구한 공로로 2002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버논 L. 스미스와 글로벌 기업들의 고문으로 활동하는 로스 M. 밀러가 지은 국내 최초로 소개하는 실험경제학 입문서라 한다.
입문서답게 이 책은 불완전한 현재의 시장을 보다 나은 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실험 기술, 그리고 금융시장의 원리 등 많은 것들을 친절하게 소개해준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책답게 이해하기 쉬운 비유를 들어가며 주식시장에 적용한 다양한 실험 사례들을 보여주고 시장의 모습을 박진감 있게 써나가고 있다. 경제학에 심리학과 자연과학의 실험방법을 접목시킨 실험경제학을 알려주는 이 책을 읽으며, 또다시 세계금융위기론이 불거지며 인간의 경제활동을 보다 입체적인 시각으로 볼 필요를 팍팍 느끼게 하는 지금의 시대적 상황에 잘 부응하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이 완전한 시장을 이룬다고 주장했지만, 오늘날의 불확실한 금융계에서 인간은 기존의 균형이론이나 합리적인 기대이론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 현실에서의 경제는 어디로 튈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인간 심리에 지배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 아닐까. 그것이 기존 경제학의 틀에서 벗어난 이 학문의 ‘실험적 접근법’이 변화무쌍한 주식시장에서, ‘스마트시장’이란 미래의 새로운 시장에서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거라 기대받는 이유일 것이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