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 - 맛깔나는 동서양 음식문화의 대향연
신재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


'집밥'이라는 단어는 언제 들어도 마음이 따뜻해진다. 그런 집밥에 담긴 역사라니..

음식을 사랑하고, 먹는것을 좋아하는 현대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혹~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 역시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하다고 적혀있지만, 배고플 때 읽고 싶은 1순위의 책이었다.


우선 이 책을 읽고 난 뒤의 느낌을 한줄로 요약하자면 '배고플 때 읽어도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다.

왜일까??

'집밥'이라는 음식을 컨텐츠로 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사진이 단 한장도 없다..

그냥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읽는 것이라서..

'난 오늘 꼭 이 음식을 먹고 말테야!'라는 느낌은 거의 들지 않았다.

아마 음식 사진이 있었다면, 이미 알고 있는 맛이라 더 먹고 싶은 것 처럼 그 사진을 보는 순간 흥미와 몰입도가 더 높아지면서 이 책의 제목에서 의도한 대로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책'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이것은 편집의 아쉬움이라고 느꼈던 점이었다.


하지만 이 책의 내용은 유익한 점이 많다.

우리가 좋아하고 즐겨먹는 음식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기에 '집밥'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아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누구나 좋아하고 자주먹는 '삼겹살'이 언제부터 이렇게 유행이 되었는지 사회적인 현상과 연관시켜서 잘 설명이 되어있다. 삼겹살 이야기 처럼 이 책의 대부분이 이 음식이 어떻게 유명해지게 되었는지에 대해 사회적인 현상과 잘 결합되어서 설명되어 있다.


이 책의 서문에서 작가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음식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가장 좋은 연결고리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 책이 식사자리에서 음식에 대한 상호교감을 나누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난 이 책을 읽은 후 같이 음식을 먹고, 같이 장을 보는 남편에게 기억이 날 때마다 책에서 읽은 내용을 주저리 주저리 이야기하게 된다. 식사자리에서 밥을 먹으며 머리아픈 이야기가 아닌,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이 처음 의도한 바가 실현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식사자리에서 마땅히 이야기할 소재가 없다면, 이 책을 읽고 한번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것은 어떨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