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반점 왕선생
김지윤 지음 / 문학사상사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나는 시를 잘 알지 못한다.

중고등학생 시절, 수능을 위해 시글 위에 밑줄 치고 참고서 생각을 그저 긁적였을 뿐.

나는 시를 잘 모르겠다. 

제한된 몇 자에 담긴 시인의 감상을 알아채리기엔 내 감정이 조금 메말랐을 뿐.

그래서 망설였다.

아주 오랜만에 접하게 된 시에 민폐 끼치는 건 아닌지,

오다 가다 만난 사람들에게 편협하고 옹졸한 생각의 똬리를 틀어주는 건 아닐지.. 그러다 그냥 맘 가는대로 몇 자 적고자 한다. 이건 감상이니까.

정답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지친 내 마음을 달래고자 하는 위로니까.

 

내가 이 시집을 알게 된 건 다른 책보다 얇았고,

내 마음이 짓누리고 짓밟혀 있을 때였다.

 

 이 책의 처음 시 제목은 깊고 검은 가문비나무 숲이었고 그녀와의 이별이 담긴 가문비나무는 누군가의 추억이 되고 식탁이 되었다는 내용이었다.

한 장에 담긴 짧은 구절이었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어떤 책보다 깊었다.

사랑, 그리움, 추억 그리고 다시 사랑이라는 느낌이랄까....

계속 그 안의 시들을 탐닉했다. 읽고 읽다 마지막 장을 넘겼을 때.....

애정이 느껴졌다.

 시인은 사랑을 이야기 한다. 그 사랑은 남녀간의 사랑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시, 그 사람, 사람들, 꽃, 돌, 아가, 가족, 수인반점 왕선생, 연변에서 온 처녀, 코끼리 등등...

내가 살았던 곳, 내가 만났던 것들의 과거와 내가 살고 만나고 있거나 만나게 된 것들의 현재의 애정을 담고 있다. 녹록치 않은 현실 속에 녹아든 시름과 자기에 대한 반성,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무한한 사랑과 존경?이 담겨 있다.

읽고 있노라면 마음이 땃땃해진다.

나도 시인과 같은 시선으로나마 세상을 잠깐이나마 보게 된다.

비록 찰나지만, 떨어지는 눈송이가 내 손에 녹아드는 순간이지만...

 

 

그러다 문득 나도 시인에게

고맙다는 말 대신

시인의 숟가락 위에 생선 살 한점 발라 올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