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자본을 향한 두렵고, 매혹적인 칼날

                                   

                           -고병권 지음. <<다시 자본을 읽자>>를 읽고.

 

 

 

    태어나 보니 이 사회는 이미 자본주의 물결이었고, 공산주의는 우리의 삶에 가장 잔인하고 위험한 이름이었다. 성인이 되고서도 한참이 지나서야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곧 공산주의 체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고,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님을 어디선가 얻어들을 수 있었다.

 

    이 책은 저자 고병권이 마르크스의 자본을 지금, 이곳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을 위해 쉽게 재해석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총 열 두 권의 책으로 기획된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 첫 번째 책은 마르크스의 자본을 읽기 위한 전초전이다. 전반적인 개념정리와 마르크스 특유의 입장이나 관점에 관해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그런데 그 설명과 관점이 그야말로 쉽고도 명확하다. 마르크스와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그의 심중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그의 의도를 사려 깊게 공감하게 된다.

 

    우선, ‘자본이라는 개념이 마르크스에 의해 근대적으로 재정의되었다는 것에서부터 독자는자본속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간다. 마르크스는 자본증식하는 가치라고 규정한다. 이는 고전주의 시기 경제학이 부의 과학이었다면 근대의 경제학은 가치론이라는 시대의 변화를 읽었기에 가능한 정의다.

 

    이어서 저자는 마르크스가 중요하게 다루는 정치경제학이 어떤 역사적 장() 안에서 형성되었는가를 설명한다. 본래 경제는 사실상 먹고 사는 일’, 생계에 해당하는 것이었는데 새로운 사태’-역사적 차원에서의 변화-로 인해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범위가 확장되면서 전혀 다른 시각으로의 접근이 필요했고 그리하여 경제는 국가적 차원의 일로 변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정치경제학은 정확하게 사적 경제학으로 전락한다.

 

    마르크스의 질문은 명확하다. “가치를 생산하는 자가 왜 더 가난한가?” ‘정치경제학비판은 이 질문에서 시작한다. 맬서스는 빈곤을 과잉인구 탓으로 돌림으로써 빈민의 문제로 돌려버렸고, 조지프 타운센드는 빈곤은 빈민의 개체수를 조절해줄 뿐만 아니라 빈민을 더 근면하게 만든다는 빈곤의 사회적 효용까지 주장한다. 그러나 아렌트나 칼 폴라니의 사회의 탄생에 관한 주장에 근거하여 빈곤의 문제는 개인이 아닌 사회에서 찾아야 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이 탁월한 관점을 지닌 지점은 바로 빈곤을 노동자의 착취에서 찾는다는 점이며 이 착취(에티엔 발리바르에 따르면) “경제적 메커니즘(이를테면 불평등한 분배)의 결과로 정의하는 게 아니라 경제적형태, 자체를 착취의 계기와 효과로 정의한다는 데 있다. 요컨대, ‘착취가 자본주의 경제 메커니즘의 전제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빈곤의 원인인 착취의 문제는 단순히 가치를 재분배함으로써 바로잡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체제 자체의 역사적 이행을 요구하는 문제가 된다.

 

    저자는 마르크스의 비판이 역사성과 당파성을 내포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강조한다. 이는 오늘날 자본주의 체제를 굳건히 하는 정치경제학이 여러 역사적 사건에서 빚어진 현상임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그것이 특별한 시선, 즉 관점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함이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의 역사적 필연성이나 미래로의 영속성을 제거하고 오직 역사적 이행속에서만 그것을 보고자 함이며 어떤 과학적인 책도 입장과는 무관할 수 없음을 말하고자 함이다(이는 마르크스가 프롤레타리아의 입장을 취했기에 그것이 편파적이라거나 과학적이라는 양쪽의 대립의견을 넘어서서 모든 과학적 비판은 모두 특정한 렌즈, 혹은 색조, 입장이라는 것이 있다는 뜻이다).

 

    저자는 나아가 우리가 자본을 읽을 때에도 이런 역사성과 당파성을 적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우리는 자본을 역사적 생산양식으로서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과 비판으로 간주해야 하며, 어떤 입장속에서 읽어나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받아들여야한다. 이 때 입장은 우리 자신의 렌즈, 우리 자신의 조명으로써의 입장이다.

 

    마르크스는 그 시대의 사람들이 보지 못한 자본의 미세한 균열다른 눈으로 본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국가가 가난해진 이유는 국가 내에 돈이 너무 많기 때문이라는 역설을 발견한 사람이다. 이는 헤겔의 모순과는 다른 개념이다. 이는 현존 체제가 발전시켜왔고 발전시킬 수밖에 없는 힘을 긍정하는 것이 현존 체제를 타도하고 극복하는 일이 된다는 말과 같다. 그리하여 마르크스의 부정이야말로 대단한 긍정일 수 있다. 저자는 마르크스와 같은 체제를 부정하는 혁명가야말로 긍정의 정신의 소유자일 수 있으며, ‘다른 미래의 흔적을 빨리 읽어내는 사람이라고 강조하며 이 책을 마무리한다.

 

    첫 번째 책은 여기서 마무리되지만 독자는 마르크스 자본을 본격적으로 읽게 될 두 번째 책을 열망하게 된다. 마르크스가 이토록 쉽고, 친근하고, 위대해 보인 적이 없다. 모두 저자의 탁월한 지성과 지금, 여기에서의 입장을 견지하며 비판적으로 자본을 재해석한 덕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