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대인의 밥상머리 자녀교육법 (2016 세종도서 교양부문) - 자녀와의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이대희 지음 / 베이직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유대인이 2천년동안 국가없이 살았음에도 다시 뭉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또 소수민족인 그들이 노벨상이나 세계금융권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종교, 문화, 습관등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저자는 그들이 안식일동안 가족이 모두 함께 밥상머리에서 모여 마주하는 교육에서 찾고 있다.
왜 밥상머리에 주목하는가. 저자는 우리 인간이 단지 먹기위해서만 사는 동물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언뜻 보면 밥을 먹기위해 모이는 것 같지만 사실은 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 저녁같이 먹을래? 식사같이 하자' 이런말은 밥보다 같이 이야기하자는 말에 중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화를 하고 소통하기 위한 장소, 시간으로 우리의 기본적인 욕구를 매개로 한 밥상머리에 주목한 것이다.
밥상머리란 '밥상에서 서로 마주하다' 라는 뜻이다. 우리 또한 전통적인 밥상머리교육이 있었으나, 유대인의 그것과는 조금 다른 것이 유교적영향으로 수직적으로 어른들의 일방적인 지시나 훈계가 강하였고 최근들어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그마저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이른바 집밥의 열풍은 이러한 가족해체의 또 다른 단면이 아니지 싶다.)
실제 밥상머리교육을 습관적으로 하기가 싶지 않다. 맞벌이에 아이들 육아에 지친 엄마, 일에 치여 규칙적인 참여가 힘든 아빠. 그런부분에서 이 책은 실천적인 메뉴얼을 제공하고 있다는 데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막상 자리에 앉아서도 어떤 대화를 꺼내야 할까 고민하는 가족들을 위해 주제별로 , 또 교육의 진행상태에 따른 단계별 가이드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잘 설명되어 있다.
아내와 아이들, 이렇게 가족을 이루면서 살아온 인생에 대한 자신의 많은 문제점을 보게 된다. 이러한 부분들을 고쳐가는 과정중에 대화, 소통이 정말로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주중이야 말할 것 도 없지만 주말에도 대화시간을 규칙적으로 따로 시간내서 가지고 유지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 중에서 그래도 가장 많이 가족의 얼굴을 보며 자유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장소,시간이 밥상머리 인 것 같아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