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생각공부 - 하버드 비즈니스스쿨
쑤린 지음, 권용중 옮김 / 마일스톤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유대인 하면 딱 떠오르는 단어가 무엇인가? 다양하겠지만 현대인들에게는 노벨상, 경제, 금융, 부, 교육 이런 단어들이 주를 이루지 않을까 생각한다. 실제 서문에 나온 저자의 말처럼 여러 통계치를 통해 인원대비 여러 분야에서 그들의 발자취가 큰 것은 분명해보인다. (유대인들은 빌게이츠, 석유재벌 록펠러, 모건, 스티븐 스필버그 등 세계적인 부호 및 유명한 사람들을 많이 배출하고 있으며  미국 유대인 100만가구 가운데 약 90만 가구가 중산층이라는 통계를 통해 전반적으로 다른 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명 부(금융)에 우위를 보이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이렇게 그들이 돈을 버는데 월등한 전문가적 기질을 보이는 이유는  선조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사업 경험을 축적, 발전시켜 그들만의 재능과 노하우를 길러 왔기 때문이라고 보며 그 차이는 돈이라는 물질로 실제적인 결과의 차이를 가져온것이라 말한다. 그들이 부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생각들을 정리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9가지 주제를 여러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성공사례들을 나열하였다.

대부분의 내용이 어린이나 청소년 탈무드를 읽는것처럼 이해하기 쉬운 것이 장점이라 해야 한다. (입문서로 보기에는 not bad... 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이 유대인이라고 말하는 민족의 특성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보인다.


개인적으로 유대인 이라는 단어가 한국(책의 저자가 중국계미국인이라는 것을 보니 전 세계적인 흐름이라 생각된다.)에서 주는 의미는 민족의 차원을 넘어 부가가치 상품의 하나로 여겨지지 않나 한다. 실제 나 또한 그런 선입견으로 책을 대할 때가 많다.  그러다보니 상품의 외관과 기능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게 되는 역효과를 가지지 않을까 (그냥 유대인 이라고 검색만 해보면 얼마나 많은 내용들이 조회되는지 한번 보시기를...)

​교육, 문화, 금융 ...여러가지 다양하게 이야기하지만 궁극적으론  돈으로 귀착되고 있다.

한 때는 가장 천대받던 직업/민족이 자본주의라는 현대사회와 만나 물질적인 계급상승을 이룬 모습에 문화적인 차이이, 역사 등에 대해서는 대부분 무관심하다.

어쩌면 이 책도 우리들의 행동이 만들어 낸 책중에 하나라고 생각되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앞서가는자의 뒷모습만 따라가서는 선두에 설 수 없다. 유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의 원천은 수천년동안 이뤄지고 지켜져온 문화의 유산 중 하나로 자본주의 시대라는 흐름과 맞물려 빛을 발하고 있다는게 옳을지도 모른다. 세계화라는 이름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자본의 개념이 바뀔수도 또는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됨을 알기 위해서는 돈 자체보다 그것이 흘러가는 방향에 더 집중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