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aladin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우다, 공식 한국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양희승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된 미래[Ancient Futures]
옛것에서 희망 찾기, 그러나 옛것이 이상은 아니다.

 
인도와 파키스탄, 그리고 중국(티베트)과의 국경지대, 험준한 히말라야 산맥을 등지고 있는 작지만, 오래된 도시 라다크(Ladakh)를 배경으로 희망과 좌절, 그리고 예측하기 힘든 '미래'에 대한 얘기가 이어진다. 부제인 'Learning from Ladakh'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저자인 '헬레나 노르베르그 호지'는 삶의 미래를 라다크에서 찾고 싶어한다. '오래된 미래'라는 시간을 거스르는 역설로 제목을 삼은 것만 봐서도 '호지'는 오래된 도시 라다크에 대한 애정이 남다를 뿐만 아니라, 그것 미래일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책을 읽는 사람을 '과거'의 향수로 이끄는 것은 이 책의 마법적인 장점이자, 가장 큰 약점이다. 전통적인 공동체적 삶을 살고 있었던 라다크 사람들의 삶은 우리가 어릴 적 살았던 한국의 '과거'와 오버랩(overlab)되면서, '과거'를 추억의 대상으로뿐만 아니라, 지키고 보전해야 할 '미래'의 위치로 까지 밀어부친다. 책을 읽는 동안 잠시 한국의 60~70년대 개발의 광풍 속에 밀려난 임금노동자와 도시빈민들의 처참한 삶은 잠시 밀려나고, 가족들과 이웃들과 함께 어울렸던 삶의 조각들이 당시 삶의 '전체'인양 자리를 내어잡는다. "그땐 좋았는데"라는 탄성이 절로 나올정도면, 이책의 마접적 장점은 정점에 달한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향수'만 자극하는 목가적 에세이만은 아니다. 저자는 20여년이 넘는 시간을 라다크인들과 함께 살면서 '미래'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들을 발견해낸다. 자본의 유입과 도시의 발전이 함께 가져온 전통의 파괴와 환경의 오염, 인간 공동체의 해체를 피부로 느끼면서 '전통'속에 담겨 있는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따스한 알맹이들을 찾아내기 시작한다. 공동의 노동을 통한 유대, 화낼 줄 모르는 배려, 땅과 함께하는 교육, 낭비없는 절제, 수천년을 어어져온 땅과 산 그리고 가축을 다스리는 지혜 등이 그것이다.

'호지'는 '과거로의 회귀'를 외치고 있지 않다. '오래된 미래'라는 역설은 오래된 것 그 자체가 미래라는 선언이 아니라 오래된 과거가 미래의 혜안과 만났을 때, 비로소 분열과 부패, 전쟁과 파괴를 넘어서는 '현재'를 구성할 수 있다는 지극히 당연한 '진리'를 담고 있다. 우리는 어떤 미래를 꿈꿀 수 있을까? 호지의 '오래된 미래'는 답을 제시하기 보다 해답을 찾을 것을 요청하고 있는 듯 하다.

"The forces of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have pulled most people away from a sure subsistence and got them th chase after an illusion, only to fall flat on their faces, materially impoverished and psychologically disoriented. A majority are turned into slum dwellers-having left the land and their local economy to end up in the shadow of an urban dream that can never be realized..... 
Development planners can pretend that everyone will be able to live like a New Yorkers as long as they ignore the fact that natural resorces are limited."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