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의 계단 수학여행 3 - 미확인 괴생명체의 습격 무한의 계단 수학여행 3
최재훈 지음, 김기수 그림, 장세원.김준 감수, 무한의 계단 원작 / 서울문화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문화사

무한의 계단 수학여행 3

- 미확인 괴생명체의 습격 - 




지난 번에 

무한의 계단 수학여행 2권을 읽고,

3권이 궁금했는데

드디어 읽게 되었습니다.


무한의 계단 수학여행은

초등수학개념을

재미있는 우주여행 만화를 통해

풀어내는 학습만화입니다.


3권에서도 여러 수학개념이 나오는데

특히 가장 큰 수 단위

(무량대수, 구골, 구골플렉스 등)가

흥미롭습니다.



제2권, <일촉즉발! 위기의 워터리아>의 마지막에서 해왕성에 불시착하게 되는 일행들..

그리고 해왕성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태극 소녀의 뒷모습이 그려졌는데요.  



3권의 표지에선 그 태극소녀의 앞모습이 주인공으로 그려졌으며,

어둡게 칠해진 저 괴생명체(?)의 정체는 무엇일지도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부제목도 '미확인 괴생명체의 습격!)



이 책은 재미난 우주여행 스토리의 만화를 바탕으로,

각 화의 뒤에 주요 수학개념이 정리되어있습니다.



1화. 미확인 조난신호

제2권에 이어 해왕성에 불시작하게 된 한이와 단이 일행.

SOS 조난신호를 발견합니다.

가만있을 수 없겠죠?



2화. 숨겨진 영상

조난신호를 찾아가려고 했더니 곳곳에 암호가 걸려있습니다. 숫자세기는 어려워해도 돈은 가가 막히게 잘 세기도 하는데요~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이라면 충분히 접답을 맞출 수 있겠지요?



3화. 좀비 동물의 정체

유전자 변이로 좀비동물이 되어 나타난 괴생명체를 맞닥드리게 됐어요.

이 과정에서 '초과'와 '미만'의 개념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습니다.


 


4화. 말하지 못한 비밀

비즈니스맨도 감염되어 치료약을 구해야하는데

여기서도 암호를 풀어야합니다.

수직인 그림 찾을 수 있겠죠?



5화. 돌멩이와 보석의 힘

탈출확률이 50% 미만으로 갈수록 떨어지는 것을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과연 잘 탈출할 수 있을까요?


맨 뒤에서는 <지식이 차곡차곡쌓이는 융합 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수학 상식이 추가로 소개됩니다.

  •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

  • 그래프 이론의 아버지, 오일러

  • 0과 1로 모든 수를 표현하는 이진법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알아볼까요?


이런 내용들이죠!


위의 내용 중 아이가 가장 인상 깊어한 가장 큰 수의 단위에 대해 좀더 알아봅니다.



무량대수(無量大數, Infinite Algebra)

  • 한자어로 '셀 수 없을 만큼 큰 수'라는 뜻입니다.

  • 불교 용어인 '아승기(阿僧祇)'에서 유래되었으며, 인도에서는 무한대를 뜻하는 단어로도 사용됩니다.

  •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부터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수학에서는 매우 큰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주로 천문학이나 물리학 등에서 사용됩니다.

  • 10의 68승을 의미하기도 니다.


구골(googol)

  •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캐스너가 만든 용어로, 1 뒤에 0이 100개 붙은 수를 의미합니다.

  • 구글(Google)의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브린이 이 용어를 사용하여 회사명을 지었다는 일화로 유명합니다.

  • 구골보다 더 큰 수로는 구골플렉스(googolplex)가 있으며, 1 뒤에 0이 구골 개 붙은 수를 의미합니다.


구골플렉스(Googolplex)

  • 구골보다 더 큰 수를 나타내며, 1 뒤에 0이 구골 개 붙습니다.

  • 기원은 1940년,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캐스너의 9살짜리 조카 밀튼 시로타가 '구골'이라는 단어를 만들었고 이 단어에 착안하여 새로운 단어 구골플렉스를 "1 뒤에, 쓰다가 지칠 때까지 0이 이어지는 수"라고 정의하였습니다. 

  • 구골플렉스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수 중 가장 큰 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실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수학적으로 정의 된 수 중 가장 큰 수 중 하나이지만 현실에서는 거의 사용 되지 않으며 수학에서는 이론적인 연구나 상상력을 자극 하는 데에 사용 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도 일부 응용 됩니다.

  • 숫자는 너무 커서 표준 십진수 형식으로 쓰는 것은 우주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불가능합니다. 모든 0을 표현할 물질이나 공간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만화책을 통해 우주여행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여러 수학개념을 접할 수 있는 방식이라 좋습니다.


수에 관심이 많은 아이라면 무한대, 무량대수, 구골 이런 말을 얼핏 들어보고 좋아하기도 하는데요.

찾아보며 구골플렉스라는 어마무시한 숫자도 알게되었습니다. 이론적인 숫자일 뿐 물리적으로는 표현조차 어렵다고 하네요.


수학을 너무 어렵게만 여기지 않고, 재미있게 학습만화로 각종 개념을 접하고자 한다면 무한의 계단 수학여행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