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의 몸값 1 오늘의 일본문학 8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964년 도쿄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1945년 패전과 함께 일본은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침체기를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재건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꺼라 예상했지만 한국전쟁의 특수효과(?)를 누리고 경제성장을 보란듯이 이뤄냈다. 덕분에 올림픽까지 유치하게 됬으니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는건 시간 문제였다. 이 책(올림픽의 몸값)에서 시대적 배경은 앞에서 언급한것 처럼 196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본의 수도인 도쿄에서 올림픽이 개최되고 그 주변 도시들은 각 종목 경기장이 건설되고 그 외 기타지역에서 감돌고 있는 빈부격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시대적 배경을 너무 사실적으로 묘사해 마치 역사서를 읽는 느낌마저 들었다.

주인공인 구니오는 명문대생에 착하고 얼굴도 잘생긴 미래가 보장되는 청년이었다. 그러나 뜻하지 않은 형의 죽음으로 화려한 이벤트(올림픽 개최)뒤에 사회적으로 소외된 가난하고 못배운 사람들의 희생이 따르는지 느끼게 된다. 결국 나라에게 도전장을 내민다는게 이 소설의 주된 내용이다. 현실도 그렇다. 국민들의 희생이야말로 부국강병을 이루는 원천이라고 정부는 공약하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부조리는 과연 우리 수긍하고 넘어갈수있는 문제들일까? 이 작품을 통해 작가(오쿠다 히데오)가 남기고 싶은 메시지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회사에서 이 서평을 남기면서 갑자기 든 생각인데...

“진짜 불특정 다수의 것들이 진짜 여러사람 힘들게 한다...”

“회사를 상대로 테러를 저지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건 나뿐인가? 라는 생각말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