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 켄 리우 한국판 오리지널 단편집 1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 제목 :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

* 저자 : 켄 리우

* 편역 : 장성주

* 출판사 : 황금가지

**

뭣도 모르면서 SF 소설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었다. 나의 상상력과 창의성의 한계가 다른 사람의 창조력마저 틀에 가둬버린 것이다. 하지만 이런 편견을 보란 듯이 깨준 작품이 있다. 바로 테드 창의 <숨>이다. 한때 <숨>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했다. 책을 선물할 일이 생기면 <숨>을 건네며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을 거라 장담했었다. 그 후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이 나를 또다시 설레게 했다. 테드 창과 비슷하면서도 확연히 다른 상상력으로 미래에 대한 다채로운 관점을 선물해 주었다. ‘사실과 숫자가 인간을 설득하지 못하는 것’을 생생히 보았으며 인간은 오로지 ‘이야기’를 통해서만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고 말하는 켄 리우. 그런 작가가 쓴 이야기의 힘을 넘치도록 느껴보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켄 리우의 데뷔작인 <카르타고의 장미>를 비롯해 <사랑의 알고리즘>, <매듭 묶기>(한글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싱귤래리티 3부작’ 등 총 12편의 작품으로 구성된 이 책은 분명 미래에 대한 책이지만 ‘지금, 여기’를 생각하게 한다. 미혼모(... 이 말을 대체할 단어는 없는 걸까? 결혼하지 않은 상황에서 아이를 가진 엄마 또는 아빠(미혼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단어인 것 같다. 수업을 통해 아이들과도 많이 고민했던 부분....) 문제나 인종 차별, 이민자와 원주민 사이의 갈등, 죽음을 맞이하는 태도 등 지금 충분히 고민해야 할 문제들을 다룬 것이다. 그러고 보면 아무리 인공지능이 뛰어나고 과학기술이 발달해도 우리 인간의 고민은 가족, 문화, 전통, 삶과 죽음 등 지금과 다르지 않으려나 보다. 그것이 인간 삶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이니까 말이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작품은 간병로봇을 통해 화면으로 어머니를 간병하고 임종까지 함께 하는 이야기 <곁>이다. 어머니와 멀리 떨어져 있어 간병로봇으로나마 어머니를 면회하는 주인공의 마음이 잘 그려졌다. 사실은 환상에 불과하지만 기술의 도움으로 서로의 감정을 전하는 장면이 얼마 후 실제 우리의 세상에서 재현이 될 것만 같다. 우리의 일상이 이렇게 바뀌어 간다면 관계의 깊이는 어떻게 되는 거지? 고민에 고민이 거듭된다.

 

우리는 인간의 삶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까? 작품들을 읽으며 시간과 공간, 차원을 초월한 다양한 관계에서의 사랑을 떠올렸다. 이성 간의 사랑만이 아니라 모든 존재에 대한 사랑이 우리를 더욱 인간답게 만들지 않을까? 앞으로 어떤 미래가 우리를 찾아올지, 우리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여전히 서로 사랑하고, 또 갈등을 겪기도 하고, 삶과 죽음에 대해 고민하며 살아갈 것만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러한 삶을 어떻게 더 인간적으로 살아갈 것인지 고민해야겠다. 켄 리우의 작품처럼 따뜻한 이야기와 함께... (SF도 충분히 따뜻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