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루 3분 세계사 - 매일 한 단어로 대화의 품격을 높이는 방법
김동섭 지음 / 시공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단어"하면 무엇이 생각날까?

아마 "그냥 외우면 된다.","시험 문제"정도로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어는 수많은 의미와 재미있는 기원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것을 알면 더욱 재미있을 것이다. 이 책 "하루 3분 세계사"가 바로 그런 책이다.

이 책의 특징과 인상깊었던 부분- 이 책의 저자가 아마 불어(프랑스어)전공자라서 그런지 이 책에서는 불어에 대한 설명이 많고, 특히 불어와 영어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첫 번째 예를 들면, 영국과 프랑스의 사이 나쁜 관계에서 비롯된 단어도 있다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인사도 안 하고 슬쩍 떠나버리는 것을 "french leave",불어에서는 "filer a l'anglaise"라고 하는데 이 모든 단어가 영국과 프랑스의 싸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보고 흥미로웠다.

두 번째 예로는, beef와 cow, pork와 pig, sheep과 mutton 같이 고기와 동물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 역시 재미있었는데 그런데 왜 닭과 닭고기는 똑같이 chicken으로 쓰는지 안 나왔다. 이 역시 프랑스인들이 영국을 점령하면서 고기를 소비하던 주요 계층인 프랑스 귀족들의 언어가 영어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렇게 된 것이 흥미로웠다.

마지막 예로는, 불어에 의해 사라진 고유 영어 단어들이다.

우리가 영어로 얼굴을 뜻하는 "face"라는 단어,공기를 뜻하는 "air"라는 단어 등도 역시 불어에서 나온 말로 한자어에 의해 사라진 우리말들이 생각나면서 무조건 한국어를 지키기 위해서 외래어나 한자어를 과연 무분별하게 한국어로 번역해야 하는지 약간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총평- 이 책 역시 부분부분이 빠진 설명들이 존재해서 안타까웠다. 하지만 그래도 단어를 무조건 시험 볼 때 암기해야 하는 것이 아닌 그 어원에 대한 설명을 알려준 점에서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퍼로드 - 고추가 일으킨 식탁 혁명
야마모토 노리오 지음, 최용우 옮김 / 사계절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고추는 우리에게 굉장히 친숙한 채소이자 식재료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고추에 대해 "남아메리카가 원산지고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는 그저 단편적인 지식만을 알고 있고 나 역시 그 중 하나였다.

그러던 도중, 고추의 역사를 다룬 책이 나온다는 것을 보고 굉장히 반가웠고 결국 이 책의 서평을 쓰게 되었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되거나 잘못 알고 있던 고정관념을 깨 부수는 경우도 많았다.

그 중 첫 번째로는 우리의 식탁에 잘 오르는 파프리카가 고추의 한 종류이며 원산지가 헝가리라는 것이다.

나는 그동안 파프리카가 매운 맛도 없고 생긴 것도 고추와 달라서 고추와는 다른 식물로 생각했는데 위에서 말했듯이 파프리카 역시 고추의 한 종류이며, 파프리카의 원산지인 헝가리에서는 매운 파프리카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부탄에서 고추를 즐겨 먹는다는 것이다.

나는 부탄이라는 나라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부탄의 문화나 역사 등에 대해서는 까마득하게 모르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 부탄이 우리나라나 태국,중국 못지 않게 고추를 즐겨 먹는다는 사실을 알고 굉장히 흥미로웠고 놀라웠다.

셋째,우리나라에서 왜 붉은 배추김치가 늦게 등장하게 되었는지도 알게 되었다.

나는 원래 우리나라에서 붉은 배추김치가 등장한 것은 거의 최근의 일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러한 이유는 모르고 있었는데 지금과는 달리 고추가 처음 유입될 당시에는 우리나라(조선)에서 고추가 독이 있다고 잘못 알려졌기 때문에 고추를 기피했다는 것 역시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일본에서도 고추가 어느 정도 인기(?)있다는 것이다.

나는 그 동안 "일본인들은 매운 음식을 잘 먹지 못하기 때문에 고추가 인기 없을 것이다."라고 생각했는데, 메이지 유신(근대화)이후로 육식을 하면서 카레라이스의 등장을 비롯한 식문화의 변화와 전쟁의 패전으로 인한 굶주림으로 의해서 고추가 일본에서 어느 정도 인기 있는 식재료가 된 데다,80년대의 "게키카라 붐" 등과 함께 고추가 인기 있는 식재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그동안 내가 고추에 대해 모르고 있던 사실은 물론 잘못 알고 있던 상식 역시 깨 준 것으로 인해 굉장히 추천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부터 다시 읽는 친절한 세계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김진연 옮김 / 제3의공간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읽게 된 동기-나는 역사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역사책을 많이 읽고 역사 수업시간을 좋아하며 역사 관련 카페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러던 중 내가 활동하고 있는 역사 카페 "부흥"에서 유명한 세계사 강사이자 작가인 "미야자키 마사카츠"라는 사람이 쓴 이 책을 서평 이벤트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결국 이벤트에 참석해 이 책의 서평을 쓰게 되었다.

이 책의 특징과 장단점-세계사 교과서를 비롯한 대부분의 기존의 세계사 관련 서적들이 "대륙(사실 이 책도 초반에는 대륙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중심으로 전개되는 반면, 이 책은 "해양",그 중에서도 특히 대서양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포르투갈(사실 포르투갈의 몰락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네덜란드,영국 같은 대서양의 해상권을 제패하던 나라들의 흥망성쇠를 상세히 다루고 있고, 르네상스, 자본주의, 국민국가의 발생 등의 세계사의 중요한 사건들의 발생 원인 역시 해양에서 찾고 있으며, 백년전쟁, 1차 세계대전, 페르시아 전쟁, 태평양 전쟁, 냉전 등의 세계사의 중요한 전쟁들 역시 해양과 연관을 두고 있다.(특히 나는 냉전을 그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 해양 제국(미국)과 대륙 제국(소련)의 대립으로 본 것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제목 그대로 친절하다는 점이다. 이 책은 지도와 주요한 내용을 요약한 1초 리뷰를 삽입하고 있어 어느 정도 이해하기 쉽게 해 줄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 책도 어느 정도 문제가 있는데 그 중 두 가지를 고르자면 먼저 내용이 너무 서유럽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인지 아프리카,동남아시아,라틴아메리카(?)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편이다. 예를 들자면,국제 무역권을 주도하던(?) 말레이시아의 믈라카 왕국과 인도네시아의 슈리비자야 제국에 대한 설명이 없는 점이 아쉬웠다.

또한,문화사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것도 한목했다. 예를 들면, 송나라의 성리학의 성립과 발전, 이슬람 세계의 자연과학 발달, 르네상스의 과학혁명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비록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굉장히 쉽고 재미있고 이해가 잘 되는 책이었으며 앞으로 이 책의 개정판이 나온다면 위에서 말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채 출판되기를 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등학생의 국내 동물원 평가 보고서 동물권리선언 시리즈 5
최혁준 지음 / 책공장더불어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동물원의 문제점과 장점을 소개하였고 각각의 동물원들이 어떻게 발전해나가고 어떻게 개선되고 어떻게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