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는 알에서 나오기위해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하는자는 반드시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

이작품은 지나치게 상징적이다라는 비평을 듣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데미안의 매력이 아닐까. 질풍노도의 시기. 그리고 하나의 진정한 인간으로 다시태어나기위해 '어린아이'라는 두꺼운 껍질을 벗기위한 소위 청소년들의 고뇌와 갈등을 표현하는데 있어 '간단 명료함'이란 있을수 없기 때문이다.

본인 또한그러한 과정에서 투쟁(?)하고 있기때문에 무척 깊은 감명을 받았던것 같다. 기존의 한 세계에서 벗어나기위해 투쟁한다는점, 이것은 청소년기를 거친, 그리고 지금 거치고 있는 모든 세계에게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수 있을 것이다.또한 그 과정은 지독히 고독하며 그누구도 대신 경험할수 없으며 오직 자기자신의 신, 압락사스에대한 성찰이 필수불가결하다는 사실은모든 청소년들이 깨달아야 할 점일 것이다.

혼란스러우며 고통스러운 청소년기의 소년.그리고 소녀들에게 이책은 영원히 권장도서 0순위 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