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다리 아저씨 - 문예교양선서 38
진 웹스터 지음, 한영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이책을 읽고있는것을 보고 엄마는 '늦어도 중학교때는 읽었어야 할 책을 이제서야읽고있다'며 비웃었다.그래-이제 고2가 되어서야 읽는게 조금늦은감이 있다. 하지만 이나이에(?) 이책에 감명을 받아버렸다면 내가 너무 유치한것일까? 페이지를 한장한장 넘기면서 주디가 하루하루 자라는것을 마치 옆에서 보듯 느낄수 있었다. 처음에는 고아원에서 나올구 있게된 감사로 가득찬 편지에서-지나친 선물공세를 거절하는 성숙한 주디까지-'작가 주디'는 틀림없이 혼자서 자라고 있었다. 이작품이 '신데렐라'의 전형이라는 평도 있었다 한다. 틀림없이 그렇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이 작품을 비판한다는것은 작가의 의도에서 조금 벗어난 관점이 아닐까?

'제가 대학에 처음 왔을때에는 다른 모든 여학생들이 누린 정상적인 유년시절을 배앗긴 데 대한 억울함을 느꼇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조금도 그렇게 느끼지 않아요. 이제 저는 그것도 매우 값진 경험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것은 저에게 한 발자국 비켜서서 인생을 바라볼수 있는 유리한 입장을 베풀어 주었거든요.'이것은 주디가했던 말 중에서 가장 감명에 남는 말 이였다. 자신이 불항하다고 느끼는 세상의 모든소녀들.그리고 소년들과 어른들. '행복을 행복으로 받아들일때 비로소 행복해질수 있다'라고 이야기하는 이책에 다시금 귀를 기울여 보는것은 어떨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