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존감 - 나를 사랑하게 하는
이무석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은 자존감이지만 열등감이란 단어가 더 많이 나오는 책이다. 열등감이란 무엇인가. 자신이 남과 비교해서 못났다란 느낌이다. 책 내용 자체는 특별하다고 할만한 내용은 아니었다. 조금 이런 류의 책을 접했던 분이라면 결국 같은 말을 하고 있다고 느낄 것이다. 그럼에도 다시 한번쯤은 내가 느끼는 열등감이란 것에 대해서 좀 더 객관적인 관점에서 돌아보게 해준다. 열등감이란 사실 혼자있어서는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자신의 가치에 대한 착각이다. 얼굴이 예쁜 여자는 분명 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고 현실이다. 그런데 만약 어떤 평범한 또는 못생긴 여자가 거기에 자신의 가치를 연관시키면 열등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남들은 내가 예쁘지 않아 좋아하지 않아...(여기까지는 슬프게도 분명 사실은 사실이다...)..남들이 좋아하지 않으니 예쁘지 않은 나는 분명 못난 사람이야..문제는 이부분이다. 그래 예쁘지 않은 건 사실이다. 그 이유로 남들이 처음부터 맘에 들어하지 않을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나 유난히 외모를 밝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하지만 왜 그것이 내가 못난 사람으로 결부되어야 하는걸까. 좀 더 극단적으로 이야기해서 전세계 인구중 단 한명도 날 단지 외모때문에 싫어한다고 해보자. 그렇다고 내가 가치가 없는걸까. 그렇다고 내가 못난걸까? 결국 문제는 이 점이다. 우리가 자기자신을 스스로 먼저 좋아하지않고, 타인의 평가를 우선순위로 두는 순간부터 열등감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또 자기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에만 억지로 맞추고 싶어하려는 과욕이기도 한 것이다. 책에서도 내내 강조하듯 사실은 사실대로 자기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건 인정한다. 그리고 남들이 뭐라하든 그냥 아무 이유없이, 마치 자기 자식을 대하듯이 자신을 좋아해보는 것이다. 어차피 나중에 자식생기면 분명 자신과 닮아있을텐데, 그 아이에게도 넌 나처럼 못난 아이야라고 말할수는 없지 않은가. 사람이 제자식을 끔찍히 여기는 것도 결국 자기자신에 대한 사랑이나 마찬가지니 역으로 자기자신을 자기 자식처럼 좋아해보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