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2 - 7月-9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막 읽었다. 여전히 하루키 다운 글이다라고 절감하면서. 애당초 공기번데기는 무엇을 의미하고 리틀피플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밝혀질거란 기대는 하지도 않았다. 이 사람 소설이 보통 다 이런식이니깐, 그건 그냥 단어 그자체로 받아들이는게 속편하고, 아마도 하루키 역시 그런 상징적인 단어들이 주는 느낌을 더 중시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의미를 부여할라치면 뭐든 못 부여못하겠냐마는, 불필요한 일이다. 이 소설은 애당초 그저 무수히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장치들로 가득차있는 바로 그런것 자체가 주는 재미를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언제나 느끼는 바지만 하루키가 자신의 글로 드러내는 생각들은 흥미롭고 재밌으며 독특하다. 거기에 뭔가 도무지 알 수 없는 환상적인 요소들로 범벅칠을 해놓으니, 독자는 독자 나름대로 이상한 세상속에 빨려들어가는 기분으로 소설을 더 몰입해서 읽게 된다. 놀라운 재주라면 재주고, 일종의 소설이란 형태를 빌어쓴 사기같기도 하다. 운좋게 거기에서 남다른 무언가를 읽어낼 수 있다면 좋은 일이고, 그렇지 못하더라도 소설을 읽으면서 오는 재미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으니 나쁜 일은 아니다.  

 대충 생각한데로 말해보면 이렇다.. 공기번데기는 아마도 사람들 저마다가 지닌 보이지 않은 개인 특유의 마음의 핵 같은 것, 또는 상처나 약점을 눈앞에 직접 형상화시켜주는 도구 같은 느낌이다.  리틀피플은 그러니깐 그런 공기번데기를 만들어내는 말그대로 작은 사람들, 일종의 일그러진 존재들로 뭘 원하는지는 모르지만, 자연의 흐름에 어긋나는 행위를 일삼아, 사람들의 마음의 핵이나 약점들을 양식삼아 살아가는 존재들인거 같다. 즉 사람들이 방어하고자 하고 외면하고자 하는 마음의 진실, 또는 그러한 무언가를 공기번데기를 이용, 눈앞에 드러내보여 원래는 보이지 않아야할 마음의 상처들의 그림자 같은 역할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것에 왜 어그러진 일인지는 확실히 모르겠지만, 아마도 추측컨데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무기력해진 사람들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그 문제를 해결코자 할때 리틀피플이란게 생겨나지 않았나 싶다. 소설에 간간히 나오는 무기력에 대한 인물들의 호소가 이 공기번데기와 연결되어 결국 작가는 마음의 문제를 힘없이 내버리고 방치하고 다른 것으로 대체하려들지말고, 직접 대면해 진실을 보라고 말하는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