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편없는 개 쓰레기였던 주인공을 키티라는 동양 여자가 왜 좋아했는지 알 수가 없다. 현실에서는 그런 일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 어쩌면 주인공은 엄청난 미남에 자신도 모르는 뭔가 수컷의 마력을 풍기는 놈이었던 걸까? 또는 달변가라서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소설 내내 주인공이 가장 잘하는 것은 궤변늘어놓기였던거 같으니. 이 녀석 그런데 알바도 안한다. 기껏 찾은게 아무도 하지 않는 노인 비서역할이었다. 그전까지는 ...아 그래 하나뿐인 혈육인 외삼촌이 죽어서 실의에 빠져있어더랬지..그리고 그냥 갈때까지 간다. 파크 라이프를 시작하는데, 아니 대체 왜 키티가 그런 녀석을 좋아하게 된걸까? 가장 부러웠던 것은 키티와 언제 어디서나 섹스를 즐겼다는 부분이었다. (..사실 소설상에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지만, 가장 내 머릿속에서는 주인공 삶의 빛나는 부분이었다.) 달의 궁전은 처음으로 접한 폴오스터의 소설이었는데, 대체로 이 폴오스터란 작가는 소설 문장이 하드보일틱하다. 또 이야기꾼이란 별명이 정말 잘 어울리는 것 같다. 소설을 어떤 특정한 장치를 해놓고 쓴다기 보다는 (예를 들면 히가시노 게이고가 쓰는 추리소설처럼 문장 내용 하나하나가 어떤 복선을 깔아놓고 있는 것에 비해) 그냥 타자가 쳐지는 대로 하고 싶은 얘기 마구 연이어 줄줄이 늘어놓는다는 느낌이다. 뭔 반전이라고 할 만한 내용이 조금 있긴 한데, 전혀 뭐랄까..반전이 주는 어떤 짜릿함이나 충격같은 것은 없었다. 그냥 아 그렇구나 정도랄까. 성격 나쁜 할아버지에 대한 묘사는 왜 이리도 길고 지루한지..여기에 대해 감탄사를 늘어놓은 평론가가 있다는게 놀라울 따름이다. 뭐라고 했더라. 마치 음악같은 언어의 묘사, 구사? 폴 오스터가 언어의 마술사란 별명도 있던가? 그랬던거 같기도 하고..하지만 내게는 너무도 지루하고 별 내용없어보이는 부분이었다. 뒷 내용도 뭐 정말 뭐냐..이상한 서부얘기에 결국 키티랑 헤어지고 서부로 떠난다였나. 무슨 의미가 있는거냐 도대체. 장담하건데 폴오스터도 딱히 뭔가 깊은 상징성을 두고 소설을 쓴거 같지는 않다. 이 사람 분명 천부적인 재능으로 되는대로 타자친 것이다. 달의 궁전이란 제목부터가 그렇다. 정말 그럴싸한 제목이지 않은가? 폴오스터는 언어감각이 뛰어난게 틀림없다. 그냥 떠오르는데로 다 갖다붙이는 것이다. 나는 고아였다. 외삼촌이 죽었다. 나는 노숙자가 됬다. 키티가 다가와 내 엔젤이 되었다. 나는 할아버지 비서가 됬다. 할아버지 아들을 찾았다. 알고보니 할아버지는 내 할아버지고 그 아들은 당연히...난 서부로 떠났다..봐라..플롯만 놓고 볼때는 정말 난감하다. 그런데 여기에 이렇게 살을 붙이다니...대단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