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환대 - 서로 다른 사람들이 사는 세계에서 낯선 이들을 받아들이시는 하나님의 환영
레티 M.러셀 지음, 여금현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Just Hospitality

'환대'의 담론은 현대 철학의 중요 주제중 하나이다. 
길게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서부터 하버마스를 거쳐 짐멜, 뢰꾀르, 레비나스 데리다에 이르기까지 '타자'에 관한 철학은 곧 '환대'의 담론으로 이어진다.

현대신학에서 '환대'는 이론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삶의 영역으로 자리매김한다.

이 책의 힘은 러셀이 신앙고백으로서 환대를 자신의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하고 살아왔고 그리고 어떻게 이루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데 있다.
(실은 러셀이 쓴 글을 사후 편집한거니 다른게 해석할 여지가 있긴 하지만..)

러셀에게 ‘환대’란 위기에 봉착한 우리 세계를 치유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일에 하나님과 함께 참여하기 위해 하나님의 환영(welcome)을 실천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환영은 차이를 넘어서 연결하는 우리의 행동 속에 각인되어있다.

탈식민주의 글쓰기가 그러하듯이 러셀 또한 주변부로서의 자신의 삶의 자리와 경험에서 글쓰기를 시작한다.

러셀은 여성 입학이 허용되지 않던 당대 하버드 신학대학원에 학칙 변경을 주장하여 입학이 허락된 최초의 여성일 뿐만 아니라,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여성신학자 그룹에 속했고, 사별과 이혼, 목사 아내라는 잘 맞지 않는 옷, 뉴욕 동부 할렘가의 교회 사역,남성중심적 교단과 대학에 속한 페미니스트 교수이자 목사, 양성애적 레즈비언이라는 성적 지향성, 그로 인한 성직에서의 퇴출 등 그녀의 삶은 늘 주변부에 있었다

이와 동시에 러셀은 그러한 주변부적 삶의 경험이 어느 누구도 이방인으로 만들지 않는 하느님의 환대를 체험할 수 있었고 그것을 타인들에게 실천할 계기가 되었다고 고백한다.

러셀은 수세기 동안 우리를 지배해온 식민주의적 사관으로 잘못 해석되어진 성서 해석학을 바로잡는다.

러셀은 (1) 의심의 해석학을 동원함으로써 여성과 동성애자 등 억눌린 집단의‘본문에 희롱당함’(textual harassment)을막기
(2) 가부장제를 인식하고 대결하기 
(3) 성서적 명령과 오늘 현실 사이의 모순점 찾기
(4) 약속(commitment)의 해석학. 여기서 약속이란 어떤 식으로든 우리에게 말을 건네는 성서본문 안에 하나님이 안전한 공간을 제공해 두었다는 믿음을 가지고 읽어나갈것을 당부한다.

이 책 제목인 공정한환대란 이 세상에서 우리가‘저쪽 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에 대한 두려움과 위기의식을 치유하고 정의를 실현하려는 하나님의 행위에 참여하기 위해 차이를 넘어서서 하느님의 환대를 실천하는 것이다.”

'환대'는 호의나 관용과는 다른 혁명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차이'와 다름'의 축제로 우리를 초청하며 자본주의적 관계 '거래' 와 '교환' 의 관계를 부수고 서로에게 선물이 되는 상호환대의 새로운 하나님 나라를 만들어 간다.

저는 성서의 첫째 계명이‘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는 것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것은 틀렸습니다.
이웃을 사랑하라는 명령은 단 한곳에 나옵니다. 그러나 서른 곳 이상에서 성서는 낯선 자를 사랑하라고 말합니다.
낯선자를 사랑하기란 매우 어려운데, 그들은 우리와 같지 않아서 피부색깔도,
신앙도, 배경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