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해나 재현이 잘 되지 않아서 고통스러웠던 적이 많았다.

그게 잘 되지 않는 고통…… 어느 땐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고통이란 오직 그것뿐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 그런 생각이 들 때면 어쩐지 내가 쓴 모든 것이 다 거짓말 같았다.
누군가의 고통을 이해해서 쓰는 것이 아닌, 누군가의 고통을 바라보면서 쓰는 글......
나는 어느 책을 읽다가 '절대적 환대'라는 구절에서 멈춰 섰는데, 머리로는 그 말이 충분히 이해되었지만, 마음 저편 ... 마음 저편에선 정말 그게 가능한가, 가능한 일을 말하는가, 계속 묻고 또 묻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기호 작가는 1999년 <버니>로 등단한 후 <최순덕 성령충만기>(2004), <갈팡질팡 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지>(2006), <사과는 잘해요>(2009), <김박사는 누구인가>(2013), <차남들의 세계사>(2014)를 발표 했고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오빠 강민호>(2018)는 네번째 소설집이다.
이기호의 소설을 읽는 다양한 즐거움 중의 하나는 소설의 형식과 문체에 있다.
랩, 성경식 문체, 최면술 언어, 요리 레시피, 피의자 조서,인터뷰 등 다양하고 실험적인 서술양식을 사용하면서 유머와 환상성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통해 사회/개인의 욕망과 정치성을 드러낸다.
이번 소설집에 실린 7편의 단편들은 개인이 강조되는 미시사의 모습을 그리면서 환대와 공감에 대해 씨름한다.
사람들이 누군가를 환대한다고 하면서도 상대의 고통이나 상처를 자꾸 자기의 시선으로 보는 것 같아요.
내가 겪은 사례들이나 내가 상상할 수 있는 크기의 고통 정도로 상상해서 동일화하는 거죠.
결국 진정한 이해와 환대에는 실패하게 됩니다.
그 실패담을 소설로 써보고 싶었어요.(작가의 인터뷰 중에서)
소설들은 친절하고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유로 환대에 실패하는 사람들의 모습, 오히려 환대가 폭력이 되는 모습까지 그리고 있다.
신원을 묻지 않고, 보답을 요구하지 않고, 복수를 생각하지 않는 환대라는 것이 정말 가능한가,
정말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않는 일이 가능한 것인가,
그렇다면 죄와 사람은 어떻게 분리될 수 있는가(한정희와 나 중에서)
“아저씨는 우리 미진이도 잘 모르잖아요…… 모르면서 그냥 좋은 인
연이라고 쓴 거잖아요…… 그건 그냥 쓴 게 맞잖아요…… 씨발, 아무것
도 모르면서…… 내가 왜 책을 파는지…… 내가 당신이 쓴 글씨를 얼마
나 오랫동안 바라봤는지……”
때때로 나는 생각한다.
모욕을 당할까봐 모욕을 먼저 느끼며 모욕을 되돌려주는 삶에 대해서. 나는 그게 좀 서글프고, 부끄럽다.(최미진은 어디로 중에서)
어쩌면 선이 하나 더 있었는지 모른다고, 그것은 각기 다른 실이었는
지 모른다고, 생각해볼 때가 더 많다.
우리는 저마다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선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하나의 선으로만 보려는 것은 그 사람 전체를 보려는 것이 아닌, 그 사람을 보고 있는 자기 스스로를 보려는것이라고, 나는 그렇게 의심을 하게 될 때가 더 많아졌다.(나를 혐오하게 될 박창수 에게)
아까는 나한테 뭐 죄책감을 느끼네 마네 떠들어대더니…… 당신은 그 얘길 왜 쓰려고 하는데? 당신은 죄책감을 느껴? 당신이 뭘 안다고? 당신이 뭘 쓸 수 있다고…… 똥폼은 젠장……"(나정만씨의 살짝 아래로 굽은 붐)
표제작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에서 화자 강민호는 자기만족 하에서 타자를 환대하는 인물이다.
종교적 차원에서 모든 타자를 환대하면서 현실의 타자에게서 직접적인 보답을 구하지 않고, 속물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의 환대는 누군가의 삶에 직접 들어가 고통을 함께 느끼고 아파하는 환대가 아니라, 종교적 차원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서 타자의 고통을 해석하고 처신하는 이기적인 환대였다.
누구에게나 친철한 환대는 역설적이게도 타자의 고유성을 무시하고 기계적으로 베푼 무의미한 환대가 돼버린 것이다.
결국 윤희에게 베푼 두번째 환대가 거절당하는 순간 강민호는 자신의 환대를 돌아보게 된다.
누구에게나 친절하면서도 모든 일에서 ‘귀찮음’을 느꼈던 그는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없이 환대를 베풀어 왔다는 것을 비로서 깨닫고 부끄러원 한다.
이 부끄러움은 강민호로 하여금 새로운 변화를 향해 한발 다가가게 만든다.
그의 소설들은 환대의 실패로 가득차 있다.
하지만 타자는 타자일 수밖에 없다는, 그래서 절대적 환대를 쉽게 받아들일 수 없다는 그의 고백은 절망적으로 들리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맹목적이고 절대적인 환대의 가능성은 거기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아무 근거 없는 믿음이기에 맹목적이고 절대적일수 있는 까닭이다.
자네, 윤리를 책으로, 소설로,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나?
책으로, 소설로, 함께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하나?
내가 보기엔 그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네.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 그것이 우리가 소설이나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유일한 진실이라네. (이기호의 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