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 그림으로 읽는 욕망의 윤리학
백상현 지음 / 책세상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재의 가능성은 끝까지 욕망하고 저항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꽉 차있어어 짧은 글로 정리하기 힘든 책...신학책이라 칭해도 손색이 없다. 
저자의 다음 책 읽기 시작

라캉에게 진리란 과거의 철학이 생각하던 초월적 실체, 그러니까 인간이 진리에 대한 탐사 과정에서 발견하게 된 궁극적 실체로서 '이미 그곳에 있으며, 그곳에서 우리를 기다리던 최종적 의미' 로서의 그 무엇이 아니었다. 
오히려 진리란 인간이 세계를 사유하고 정립하는 '지식 체계' 내부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균열' 과 같은 것이다. 
이는 곧 모든 지식은 완전할 수 없고, 모든 새로운 지식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새로운 세계는 기존 지식 체계의 균열점으로부터 탄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저자는 라캉의 진리를 유령에 비유한다.

‘유령phantom’이란 이 세상에 없어야 하는 (비)존재가 이승에 출현하여 놀라움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의 모든 이미지가 자신들의 확고한 리얼리티를 주장하며 세계의 완결성이라는 허구적 신화를 유지하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면, 유령이미지는 그 모든 것이 허망할 뿐이며, 초월적인 것으로 숭배되었던 세상사의 진리들은 한갓 신기루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드러내며 출현한다.

유령과의 이 같은 만남 속에서 주체는 언제나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가장 흔한 선택은 진실을 알리러 온 유령을 망상으로 간주하고 현실의 기만적 리얼리티 속으로 도망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가 유령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한다면 - 라캉식으로 말해서 진리에 대한 욕망을 고집하게 된다면 - 그때부터 세계는 그에게 그 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14쪽)

우리의 자아가 속해 있는 현실 세계의 존재 질서가 균열을 일으키면서 현시하는 유령적 비-존재의 출현과 주체가 만나게 되는 사건이야말로 진리를 마주치는 순간이다.

성서에서 예수의 '유령'의 등장은 사람들이 믿었던 진리와 세상이 단지 환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제자들이 깨닫는 체험이다.
로마의 권력과 지배가 예수라는 진리를 '죽음'에 가두지 못하는 사건과 마주치면서 그들이 믿던 세계에 균열이 생긴다.

우리의 의식과 전의식은 무의식으로부터 출현한 그와 같은 유령적 증상을 억압하여 통제하려고 한다. 하지만 유령은 끊임없이 다시 돌아온다.

세계의 균열이며, 삶의 부조화라는 은폐된 진리로부터 출현하는 공백의 유령을 제거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뿐이다. 
공백의 유령을 두려워하여 외면하는 것은 그것이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변화시킬 것을 두려워한다는 말과 같다. 
반대로, 유령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언제든 자신의 정체성을 폐기하고 다른 무엇으로의 변화를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갖는다.

성서에서는 베드로가 물 위를 걷는 예수를 보고 “유령이다” 하고 소리친다.
베드로는 구약의 질서 속에서 세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존재였다. 
그의 세계속에서 예수는 오직 유령과 같은 모습으로 출현할 수밖에 없다.
예수가 말하고 행하는 모든 일들은 구약성서의 세계관, 바리새인들의 세계관, 또는 당시 팔레스타인을 지배하던 로마의 세계관 속에서는 유령이미지 였다.
그것은 그전까지의 세계관을 완전히 포기하는 관점에서만, 다시 말해서 현실을 구성하는 모든 리얼리티의 토대를 완전히 붕괴시키는 조건하에서만 비로소 기적으로 비춰질 수 있는 사건이었다.
그것이 바로 베드로가 유령이라는 단어를 쓸 수밖에 없었던 이유이다. 
예수의 행색(거지꼴)과 언행(알아듣지 못할 사랑 타령)은 베드로 자신의 존재를 지탱하던 토대의 질서와는 너무도 다른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베드로는 유령의 매혹에 자신의 존재를 내맡겼고, 예수(유령)는 주어진 모든 담론―베드로에게는 구약의 담론―을 완전히 해체하는 공포의 순간까지 그를 이끌어갔던 것이다. 
그곳에서 베드로(주체)는 진리의 텅 빈 장소―모든 것이 다시 시작되어야 하는 신약의 출발점―에 도달하게 된다.

결국 유령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받아들인다는 것은 언제든 자신의 정체성을 폐기하고 다른 무엇으로의 변화를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갖는다. 
유령은 우리에게 변화와 저항의 윤리를 요구한다.

강제된 세상의 법과 권력에 순응하는 것은 가장 비윤리적인 행위이며 인간 존재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모든 것에 ‘저항’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이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윤리이다.

저자는 예술속에서 구현되고 체험되어 지는 유령을 이야기 한다.

아름다움이란 하나의 이데올로기이다.
그것은 습관이며, 우리 무의식 깊은 곳에 새겨진 타자의 문신이다. 
우리가 추함과 아름다움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이렇듯 스스로의 영혼에 새겨진 문신에 근거해서이다. 
마치 어린 시절에 형성된 미각이 평생의 미각을 좌우하듯. 감상자는 바로 그러한 타자의 미적 욕망을 그대로 반복할 테지만, 어떤 작품들은, 유령처럼 기분 나쁜 어떤 사물들은 바로 이러한 관객의 소외된 욕망에 의문을 제기하는 형식으로 출현한다. 
이들이 바로 유령으로서의 작품이며 이런 작품들은 결코 공짜로 쾌락을 주지 않는다. 
준다 해도 그것은 절정의 순간에 쾌락을 환멸로 되돌리며 감상자를 배반한다. 
이처럼 진정한 관객이란 바로 낯선 사물로서의 작품에 자신을 개방하는 결단을 실행하는 자이다. 관객은 유령적 작품과의 만남 속에서 그 역시 유령이 되며, 유령적 주체가 되는 것이다. 이때 주체는 어떻게 하나의 예술작품이 예술 자체의 역사에 저항하는지를 체험하고 이러한 체험을 자신의 삶 속에서 반복하는 결단을 실천하게 된다.(23쪽)

유령이미지는 삶의 질서화된 이미지들의 연쇄가 정지될 때, 혹은 그와 같은 이미지의 자연스런 흐름이 갑자기 느려질 때 불현듯 등장하는 어떤 효과이다. 
유령이미지의 출현은 결국 삶의 질서가, 진리라고 믿고 있는 세계의 질서가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 폭로하면서 우리에게 '다시 그리고 더' 욕망할 것을, 세계에서의 삶을 처음부터 '매번' 다시 시작할 것을 강제한다.(217쪽)

4.3항쟁, 광주항쟁, 세월호사건은 오늘날 우리에게 변화와 저항을 요구하는 유령이며 진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