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꿈꾸는 눈동자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76
제니 수 코스테키-쇼 지음, 노은정 옮김 / 보림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누구나 크게 작게 남과 다르게 불편한곳이 있게 마련이잖아요. 보림에서 새로나온 [나의 꿈꾸는 눈동자]에서는 사시증상이 있는 주인공아이가 그럼에도, 긍정적으로 자신의 눈을 사랑하는 이야기랍니다.

한쪽눈은 정상이여서 자신의 길잡이가 되어주고 다른한쪽은 제멋대로 빙글빙글돌아가기에 똑바로 보는 세상보다 더 멋진것을, 더 많을 것을 볼수있게 해준다고 생각하는 주인공이랍니다. 신체부위 중 어느한곳하나 중요한 부분이 없지만서도 매일 보고 생활하기에 눈도 참으로 중요하지요.그런데, 그렇게 한쪽눈이 제멋대로 빙글빙글 돌아간다면 당연히 아이는 힘들꺼예요. 그렇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그마음이 너무 이쁘네요. 

그러다가 선생님의 조언으로 주인공은 안과에 가게되고 검사를 한후 안경과 더불어 한쪽눈 가리는 치료 처방을 받게된답니다. 정상인 눈을 가리고 있으면 사시현상이 있는 눈이 제자리를 서서히 잡아가기 때문이지요. 한쪽눈 가리느라 안대를 하고 학교에 가니 친구들이 놀려서 의기소침해진 주인공에게 엄마는 안대를 멋지게 꾸며보자고 제안하고 매일 다르게 안대를 꾸미고 학교에 가니 친구들이 오히려 부러워한답니다.
 
그렇게 한쪽눈 가리는 치료를 한후 다시 병원에 갔을때, 사시현상이 있는 눈이 빠릿빠릿해졌다는 결과를 접하지만 안경은 계속써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안경도 멋지게 꾸미는 주인공 아이는 아직도 가끔 한쪽눈이 돌아다니긴 하지만 그래도 늘 변함없이 자기자신의 눈을 사랑하면서 살아간답니다.

주인공 아이는 사시현상이 있는 자기의 한쪽눈을 "꿈꾸는 눈동자"라고 표현하였으며 "내 꿈꾸는 눈동자는 아직도 가끔씩 돌아다녀요. 하지만 화가는 원래 세상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보기 마련이니깐 괜찮아요." 라고 말한답니다. 아마도 주인공아이의 이름이 작가의 이름과 같은 것을 보니 자신의 이야기를 그린것같아요.
 
누구나 크게 작게 불편한곳이 있을텐데 그럼에도 이렇게 주인공아이처럼 자기자신을 사랑하면서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아이로 자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네요. 이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도 그런것을 자연스레 느낄꺼구요.
 
소재도 독특하지만, 그림풍도 참으로 독특하더라구요. 물감을 이용한 수채화기법도 사용되었고, 크레파스를 이용해 아이들이 그린것같은 표현법도 사용되었으며 다른 종이들을 잘라서 붙인 콜라주비법도 사용되어서 보는 아이들에게 볼거리를 참으로 많이 제공한답니다. 작가자신의 이야기를 그렸기에, 작가 자신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을 표현하였기에 이렇게 독특하게 표현할수있었던 같아요.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줄때 아이들은 그 내용만을 듣는것이 아니라 그림을 보고있는것이잖아요. 그렇기에 이렇게 여러가지 기법으로 아이들의 감각과 상상력을 자극한 책들을 보여줄 필요가 있는것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