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다 환경지킴이 1
차보금 글, 김영수 그림 / 사파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은 흙을 만들어내는 지렁이를 그린 과학동화이지만, 그림풍도 너무나 예쁘고  주인공 봄이가 맛난 토마토를 수확하기 위한 과정을 재밌게 그려간 동화입니다.


살이 눈부신 봄날 봄이는 토마토나무를 심어요. 그런데 아빠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뜸뿍 밭에 뿌립니다. 봄이가 풀을 뽑으려고 할때 지렁이가 나타나서앗! 징그러워 저리가 하면서 휙 던져 버립니다.


한편 땅속 지렁이 흙톨이와 그 친구들은 농약과 화확비료가 뿌려진 봄이네 밭이  점점 딱딱해지고 그로인해 어지럽고 기운을 잃어가게 되어 두엄냄새가 물씬 풍기는 오동통촉촉마을로 이사를 가게 된답니다.  두엄으로 인해 영양분넘치는 흙을 먹고 올록볼록 똥을 누면서 이리저리 다니면서 길을 만들면서 놀아요.


비가 일주일내내 내린후 봄이는 토마토밭이 엉망이 된것을 보고, 강이는 그 건너편 밭에서 싱싱하게 자란 토마토나무를 보며 이렇게 잘 자란건 다 땅속괴물 덕이라면서 웃고있네요. 땅속괴물이 지렁이란것을 알게된 봄이는 자신의 밭을 열심히 파보지만 딱딱하게 굳어있을뿐 지렁이 한마리 보이지않았어요.


그래서 강이네밭으로 가서 흙톨이에게 우리밭에도 와달라고 부탁하니, 흙톨이가 세가지 약속<농약은 안돼, 화약비료도 안돼, 지렁이를 사랑하라>을 하라고 하네요. 그후 그약속을 지킨 봄이는 싱그럽고 탐스런 토마토를 수확하게 되었답니다.


렇듯 봄이와 흙톨이의 이야기를 통해 아이가 지렁이가 어떤일을 하는지 그리고 좋은 흙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게 되었답니다.


농약이나 화확비료가 단시간 농작물을 크게 하는데는 소용이 있을테지만, 살아있는 땅, 영양분이 많은 땅을 만들어내기위해서는 그런것을 삼가하고 거름을 많이 뿌려주고, 땅속 지렁이들이 열심히 흙을 먹고 똥을 눈것이 다시 영양분이 가득찬 땅으로 바꾸게 해주며, 지렁이들이 지나간 길은 빗물이 잘 스며들게 하여 땅이 건강한 숨을 쉬게 한답니다.


지렁이가 단지 징그럽다고만 여기던 우리 아이와 저, 이렇듯 중요한 일을 하는데 놀라워했습니다.


록에서 지렁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덧붙어져 있답니다.

지렁이들이 땅속을 다니면서 터널을 만들어 빗물이 쏙쏙 빠지고, 흙은 숨을 쉴수있다.  흙사이를 오르락내리락하면 흙이 부드러워지고 식물이 잘 자란다.

지렁이는 자기몸무게의 반을 먹어 똥을 내보내 좋은 흙으로 만든다. 지렁이의 똥 1그램에는 1억마리가 넘는 흙에 좋은 미생물이 산다. 이것은 식물이 병에 걸리지않게 해주며, 영양가득한 흙으로 만들어준다.

 지렁이는 암컷,수컷구분이 없으며 서로의 생식기인 환대에 정자를 주고받으면 두마리 모두 알을 낳을수 있다. 알에는 5~7마리 새끼 지렁이가 나오며 목도리처럼 보이는 환대가 생기면 어른이 된것이다. 눈과 코가 없어 환대가 있는쪽을 머리라고 하며, 발은 없으나 배쪽의 가시처럼 생긴 강모를 내밀었다 넣었다하면서 나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