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기지 과학자들의 바다표범 구출기 온세상 그림책 5
다이앤 맥나잇 지음, 이강환 옮김, 도로시 에멀링 그림, 장순근 감수 / 미세기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이야기는 다이앤 맷나잇이라는 호수와 개울를 관찰하여 그안에 사는 생물을 연구하는 호소학자가 남극에서 연구하다가 우연히 길잃은 바다표범을 만나게 된 실제이야기를 담은 책이기에 그림도 사실적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 

 

** 상세 남극지도 그림 에 남극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지내는 스콧기지와 맥머도 기지가 있는 맥머도 협만. 그리고 다이앤이 길잃은 바다표범을 만났던 그곳, 드라이밸리 상세그림이 나와있어 책을 읽어나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드라이밸리는 남극의 사막으로써 남극종단산맥의 로스 빙붕 북서쪽 구석에 위치하며 200만 년동안 비나 눈이 오지않은 계곡으로 땅과 암석이 드러나 있어 동물이 살기어려운 곳이나, 백머도 협만에서는 황제펭귄, 아델리펭귄, 바다표범, 레오파드 바다표범,범고래 들이 살고있답니다.

 

드라이밸리에도 조류나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들이 살고는 있지만, 미생물들만 연구하는 다이앤과 그 동료들이 살아있는 바다표범을 만났으니 정말 놀랄일이였답니다. 바다표범을 배고픔에 지쳐보이지만 '남극 보호 규정'때문에 함부로 간섭할수없기에, 바다표범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부르게 되지만 맥머도 협만에 살고있는 웨델바다표범의 무리에서 떨어져 나온것이라며 어린수컷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떨어져나온것은 자연스러운일이라며 내년 여름에 다시 찾아보겠다는 말만 남긴채 돌아갑니다. 하지만 남극은 여름은 해가 지지않아 0도보다 약간낮지만, 겨울은 해가 뜨지않아 영하40도 되며 활강바람이라는 아주 센바람이 불어 바다표범이 살아남을수 있을지 모른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바다표범이 음식냄새를 맡고 다이앤팀 기지근처까지 오게 되자, 남극 보호 규정의 조항 중에서 사람과 남극 야생동물의 생명을 보호해야된다는 조항을 검토하고 바다표범을 맥머도 협만으로 옮기기로 결정합니다. 그들은 합판위에 담요를 덮은후 바다표범을 올리고 그물로 고정시킨후 헬리콥터에 매달아 맥머도 협만으로 옮기게 되고, 바다표범은 얼음바다를 보자마자 허겁지겁 눈을 먹기시작합니다.

 

과학자들은 남극에서는 여름에서만 연구를 할수있는데, 다이앤과 과학자들은 남극을 떠나기전 자신이 연구하던 개울에 이름을 붙입니다. 드라이밸리 중 아직 이름이 없는 개울 중에 바다표범을 만났던 개울에 '길잃은 바다표범'이란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 페이지 곳곳에 이 이야기를 담은 비디오를 시청한후 여러나라의 어린이들이 그린 그림과 생각들을 첨부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사실적인 그림과 과학자들이 전달하는 지식의 딱딱함을 다시한번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생각들로 재미있게 되새길수 있답니다.

 

** 이 책을 읽으면서 그저 펭귄이 사는 남극쯤으로만 알았는데, 남극에 대해서 많은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남극에도 드라이밸리 와 같은 사막이 있다

과학자들이 연구를 할수있는 기간은 여름뿐이다.- 겨울은 해가 뜨지않아 영하 40도까지 내려가기때문에~

다이앤과 같은 호소학자들이 남극에서 호수와 개울을 연구한다

 

** 부록 1   새로운 말을 배워볼까?

책에서 나왔던 생소한 단어들에 대한 뜻을 기재하여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그중 흥미롭게 알게된 단어 3개를 소개할께요

호소학자 - 호수나 늪, 그리고 그안에 살고있는 생물을 연구하는 학자

활강 바람 -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면서 부는 강한 바람, 남극에서 부는 차갑고 거친바람도 활강바람이랍니다.

풍릉석 - 바람에 깎여서 만들어진 바위, 그중에 세개의 모서리가 발달된 바위를 삼릉석이라고 합니다.

 

**부록 2 남극과 북극에 가 볼까?

똑같아 보이는 남극과 북극의 차이점

남극은 커다란 대륙, 북극은 얼어서 생긴 얼음덩어리

남극은 평균기온 영하 34도 이하, 북극은 겨울평균기온 영하 3도 여름은 영상 10도이상

남극은 펭귄,바다갈매기,물개,바다표범이 살며, 이끼나 꽃이피는 식물 2종류만 있고, 남극을 연구하려고 잠시 지내는 과학자만 있는데

북극은 아름다운 색깔의 꽃들이 피고 토끼,여우,순록,북극곰,바다표범 등 포유류와 바다제비, 기러기 같은 조류가 살며 천막이나 눈으로 만든 이글루에서 사는 부족 이뉴잇이 살고 있다

극지방의 필요성

남극과 북극이 있어야 지구의 온도가 더이상 올라가지않고,

지구를 여행하면서 따뜻해진 바닷물이 빙하근처에 와서 차가워지면서 바닷물이 순환한다고 합니다.

 

**부록 3 남극의 세종기지, 북극의 다산기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습니다.

남극 세종기지의 연구원들이 지금까지 발견되지않았던 미생물2종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세종기아 전니아이, 세종기아 안타르티카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세종기아 전니아이는 故전재규대원을 기리는 마음으로 지었고, 세종기아 안타르티카의 안타르티카는 남극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춥고 열악한 환경속에서 살아가는 남극의 동물들, 그리고 지구환경을 위해 남극에 머물려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우리가 이렇게 안온하게 살수있음이 우리자신 덕이 아니라 멀리있는 남극과학자 그리고 꽁꽁얼어있는 남극,북극이 있기때문이라는 것을 소중히 알게 되었답니다. 우리아이도 커가면서 그런 소중한 의미를 이 책을 통해서 깨닫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