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세상의 작은 조각 - 파브르북 자연관찰 3 파브르북 자연관찰 3
마라 락클리프 지음, 김종우 옮김, 살리마 알리칸 그림 / 파브르북(북공간)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아이와 밤에 고즈넉히 외출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이 책을 읽고나니...날씨가 좋아지면 아이와 조용히 밤에 산책을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답니다.


고요한 밤, 조디의 아빠는 조디를 깨워서 트럭에 태우고 도심을 지나, 조용한 숲으로 들어갑니다. 아빠는 "다른세상의 작은조각"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조디는 그것이 그곳에서 만난 여우일까? 올빼미일까? 궁금해하지만 아빠는 "다른세상의 작은조각" 따로 있다고 말합니다.


아빠와 조디는  트럭짐칸에 이불을 깔고 누워서 하늘을 바라봅니다. 조디는 아빠가 보여주려고 한것이 별일까? 하는 순간 갑자기 하늘에서 순식간에 떨어지는 한줄기 빛이 나타났습니다.


그건 바로 유성<별똥별>이죠 그것이 바로 아빠가 조디에게 보여주려고 한것입니다.

별똥별은 별이 아니라 아주 작은 조약돌이라는 아빠의 설명에 저렇게 아름다운것이 고작 조약돌같은거라니 믿을수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아빠는 저 조약돌은 저멀리 우주 공간, 다른세상에서 온 조각이라 평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한참 우주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아이에게 요즘 우주에 대한 정보가 담긴 책을 여러권 접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서정적으로 풀어놓은 책은 처음이라 평범하지 않습니다.


멀고도 드 넓은 우주공간, 우주인은 몇 안되고 평범한 우리들은 우주라는 공간을 직접 체험할 수 없지요. 그래서 책으로만 보게 되어 사실 그 우주라는 공간을 몸으로 느껴볼 수 없는데... 조디아빠의 말처럼 우리는 별똥별을 통해 우주공간이 있음을, 또한 먼 우주공간으로부터 날아온 무언가를 우리 두눈으로 느껴볼수 있습니다.


별똥별이라는 소재를 다루었고 크게는 우주공간이라는 소재를 다룬 과학동화이지만,  수채화 그림을 이용하여, 한폭의 수채화처럼 ~~ 아이와 제마음에 파고든 책이랍니다.


그러나, 조용히 맘속에 파고든 요책안에는 여러가지 과학상식들이 들어있답니다.  

1. 아빠가 조디를 깨우자 조디가 아침이에요? 묻자, 아빠는 밤이란다. 하지만 아침인곳도 있을거야 라고 말하지요. 지구가 태양주위을 자전하고 있기에 어떤곳은 밤이고 어떤곳은 낮이라는 걸 알려주는 대화네요

2. 여우를 만난 장면에서 붉은 여우는 밤에 높은 등성이에 있는것을 좋아하지 라고 아빠가 말해주지요. 야행성동물이 있다는것을 알려주는 의미이라 생각하네요

3. 아빠가 전조등을 끄자 조디는 아무것도 보이지않아요 라고 말하자,  아빠는 잠시 기다려보자.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필요하니까 라고 말하네요


그리고 별똥별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조디아빠가 자세히 해주고 있지요

아주 작고 평범한 조약돌이 아주 빠른 속도로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불이 되어서 타기에 빛이 난다고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저는 아직 별똥별을 본적이 없습니다만, 아이가 이책을 읽고나더니 "나도 별똥별 보고싶다"라고 말하더라구요. 가끔 아이와 밤에 외출해서 쓩~~떨어지는 별똥별을 볼수있다면 참 좋을것같습니다. 마침 그날 저녁에 아이와 밤에 외출할일이 있었는데, 아이가 유심히 하늘을 쳐다보더니,

아이 : 엄마 왜 별똥별이 보이지않지?

엄마 : 서울은 건물의 불빛이 너무 밝아서 별이나 별똥별이 잘 보이질 않네

아이  : 아~~ 그럼 안동가면 잘 보일꺼야 나중에 안동가면 보자!  <시댁이 안동이라서, 안동에서 너무나 밝은 별들을 보았던 생각이 났나봅니다>


그저 별똥별이 떨어질때 소원이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말만 건네줄 알았던 무지한 엄마에게 별똥별이 어떤것인지 또한 작고 평범한 조약돌이 저멀리 우주공간에서 날아왔기에 절대 평범하지 않다는 소중한 진리를 알게 하고 아이와 함께  그 의미를 함께 새길수 있게 된 좋은 책입니다.


부록에 유성<별똥별>에 설명과 유성을 멋지게 관찰하는 요령, 혜성을 이해하기 쉽게하는 혜성과자놀이, 혜성의 궤도 등이 나와 있어 좋은 정보를 더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