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김성민 글, 이태진.조동성 글 / IWELL(아이웰)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을 처음 딱 봤을때 드는 생각은 '이게뭐야? 누가 누굴 쐈다는 거야?
뭐지?'라는 생각부터 들었다.  '원래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를 쏘다. 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얇은 책이라 자세하게  아주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은 아니었지만

글을 한자한자 읽어내려가면서 나는 제목의 뜻을 알 수 있었다.

일단 나는 이 책을 다른 책과는 다르게 주변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권해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게 들었다.

대한민국 사람 이라면 아니 요즘 세대의 일본 사람들은 잘 모를수도

있겠지만 나이가 어느정도 지긋하신 일본 어르신분들까지 본다면

안중근 의사를 모를리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아마 이 책을 권한다면 대충 무슨 이야기를 할 것인지

유추가능하기 때문에 제대로 읽어보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책만은 그렇지 않다라고 정말 간절히 말하고 싶다.

우선 나는 여태까지 정말 안중근이라는 이름뒤에 따라붙는 의사라는

표현이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의사라는 표현은 일본에서 단지 붙인 명에 불과하고 원래는

장군,,, 안중근 장군이라는 호칭이 맞는 표현이라고 했다.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었던 안중근이라는 시대의 인물을 그리고

그의 가족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잘 몰랐던 부분을  보여주고 바로

잡아주는 내용이었다. 물론 안중근 장군하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우리나라의 영웅이라고 대부분을 알고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가 아는 것은 거기까지가 끝이었다. 아마 대부분 중고등학교

수업으로 알았던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나는 정말 내가 중 고등학교때 배운 내용들이 이 작디작고

얇디얇은 한권의 책으로 모두다 쓸데없는 교육이었다는걸 생각하게 되었다.

어처구니 없을정도로...

안중근 장군의 아들 안중생은 거사 후 몇 십년이 지난 뒤에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에게 사죄를 했다. 처음 그 글귀를

읽었을때는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란 표현이 이럴땐 적용이 되지

않는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렇지만 안준생이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전부 우리의 잘못이었던 것이다.

영웅과 영웅의 아들 그리고 그의 가족들. 우리가 필히 보살피고 또

보살피고 했었더라면 아마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만약 내가 안준생이었어도 그런 행동을 했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웅인 아버지를 두면 그게 정말 다였을까? 아버지는 돌아가셨지만

남아있는 가족들은 일본으로부터의 협박과 감시 그리고 같은 동족들의

배신으로 인해 아마 사는게 사는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 우리의 행동이 그 상황에서 조금만 달라졌었더라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정말 어떠한 다른 책들보다 화를 내면서

봤던 책이었다. 나는 이 책의 제목이 왜 이토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라는

것인지 정말정말 이해가 갔다. 아마 안중근 장군이 이토히로부미를

한 번 죽인것이라면 이토 히로부미는 죽은 후에 안중근 장군을 수백 번은

더 죽인 것이나 다름었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