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 마디 때문에 아시아 문학선 12
류전윈 지음, 김태성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애써 계획하고 준비했던 것들이 어그러져 어찌 할 수 없는 때가 있다. 마음속은 타들어 가는데 길이 보이지 않아 두려움이 엄습해 오는 때. 이렇게 저렇게 해야 한다며 일일이 짚어주는 자기계발서들 차고 넘친다. 나도 조금은 읽어 봤다. 그런 책을 읽어봐도 일렁이는 마음은 잠잠해지지가 않더라. 어떻게 해야 할까. 류전윈의 [말 한 마디 때문에]는 그렇게 힘겨워하는 이들의 책상 위에 살며시 놓아두고 싶은 책이다.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는 소설은 아니다. ‘새옹지마’라는 상투적인 말이 떠오르기도 하지만, 그렇게 간단한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양바이순이 양모세로, 다시 우모세를 거쳐 결국에는 뤄창리가 된 이야기라고 해 두자. 두부 파는 라오양의 둘째 아들 양바이순. 그는 어떻게 뤄창리가 되었나.

 

함상(喊喪)을 하는 뤄창리를 흠모했기 때문이다. 함상은 큰 소리로 장례식 사회를 보는 걸 말한단다. 장례식 곡소리가 들리는 와중에 “어디어디에서 오신 손님들이 절을 올립니다”라고 목청 높여 외치는 것이다. 양바이순은 뤄창리의 함상에 완전히 매료되었고, 그 일을 하며 살고 싶었다. 뭐 대단할 것도 없는 소망이다. 그런데 이 평범한 소망이 양바이순에게는 너무 멀리 있다.

 

원하던 함상을 하며 살 수 없었던 양바이순은 가업인 두부 파는 일만이 아니라 온갖 궂은 잡일을 거치게 된다. 양바이순이 도제로서 모신 사부들만 해도 두부 파는 아버지 라오양, 돼지 잡는 라오쩡, 염색공방의 라오쟝, 신부 라오잔, 죽업사 라오루 (여기서 ‘라오’는 성(姓)이 아니라 성 앞에 붙는 존칭어인 듯하다) 등 여럿이다. 이런 잡일을 거치는 여정에서 신부 라오잔에게 의탁할 때는 이름을 ‘모세’로 바꾸기도 한다. 이름까지 바꾸었건만 양바이순, 아니 양모세는 결국 신부를 거드는 일도 완수하지 못하고 신부와 헤어져 물을 지어 나르는 일을 하기에 이른다.

 

우리의 주인공, 인생이 꼬여도 너무 꼬인다. 그런데 이런 양모세에게도 좋은 일이 생긴다. 현장(縣長) 라오스의 눈에 들어 현 정부에서 채소 가꾸는 일을 맡게 된 것이다. 그리고 애 딸린 과부지만, “솥에서 방금 꺼낸 만터우처럼” 흰 피부의 우샹샹을 아내로 맡게 된다. 데릴사위로 들어가는 바람에 성을 ‘양’이 아닌 ‘우’로, 그러니까 ‘우모세’로 불려야 하지만 뭐 이름을 바꾸거나 성을 바꾸는 일이 우리의 주인공 양바이순에게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사람은 운이 따르면 문짝으로도 막을 수 없는 법”이라는 말로 작가는 양모세의 행운을 요약한다.

 

이제야 그는 마음 붙이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것인가? 아무려나, 내 기대를 배반하지 않고 또 불행이 닥친다. 현장 라오스가 해임되어 우모세가 현 정부에서 나와야 했던 것이다. 이제 우모세는 우샹샹에게 구박 맞고, 심지어 뺨까지 맞아가며 살아가는 신세가 된다. 거기다 우샹샹과 그 정부에게 속아 오쟁이 진 남편이란 불명예까지 감당해야 한다. 우모세는 귀애했던 우샹샹의 딸을 잃어버리는 희생을 감수하며 떠난 여정 끝에 두 연놈들을 찾아내지만, 그는 돌아선다. 그 연놈을 죽인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 두 연놈이 우모세를 속이긴 했지만 그 자신들은 속이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간통하기 전 여자 마음을 움직인 남자의 말 한 마디를 우모세는 알 수 없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우모세, 그러니까 이 양바이순이란 사내의 삶이 참 모질지 싶다. 양바이순이 하늘을 향해 긴 탄식을 내뱉으며 했던 말. “이번에는 어떤 수를 두실 생각입니까”라고 신에게 따지고 싶어지기까지 한다. 그런데 작가는 “저는 뤄창리라고 합니다”라는 양바이순의 말로 소설을 끝낸다. 양바이순은 아직도 함상을 하는 뤄창리를 잊지 못한 것일까. 양바이순이 뤄창리로 어떻게 살아갈지 작가가 말해주지 않으니 나는 알 수 없다. 예상과 다른 결말과 마주해 조금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이 소설에 진짜 인생 이야기가 들어있다는 것 정도는 알겠다. 그래서 나는 힘든 시간을 지날 때마다 이 이야기를 마음속에서 꺼내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