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초 사고
아카바 유지 지음, 이영미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왜 빠르게 결정하지 못할까, 하고 자책할 때가 많다. 이런 신중함 덕분에 무던하게 살아온 것 같긴 하지만, 빠르게 결정하지 못해 좋은 기회를 놓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0초 사고”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에 끌렸던 것은 그래서일 테다. 이 책을 읽으면 “0초”는 아닐지라도 적어도 오래 고민하는 버릇은 고칠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내 인생도 좀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저자가 말하는 0초란 “순식간에 현상을 확인하고, 순식간에 과제를 정리하고, 순식간에 해결책을 생각하고, 순식간에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뜻”이다. 시간이 좀 더 걸릴 수도 있지만, 종전에 견줘 놀랄 만한 속도로 판단할 때 0초 사고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저자가 아무 정보도 없는 상태에서 0초 사고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우리가 0초 사고를 하지 못하는 것은 정보를 필요 이상으로 수집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대담하게 가설을 세우는 버릇을 들”일 것을 권한다.

 

0초 사고를 실천하기 위한 저자의 제안은 놀랄 정도로 간단하다. A4 용지를 가로로 놓고, 1건을 1페이지에 쓰면 된다. 왼쪽 위에 제목을 쓰고, 1페이지에는 4~6행만, 각 행 20~30자 분량으로 1페이지를 1분 이내에 매일 10페이지씩 쓰는데, 매일 10분만 메모를 쓰는 셈이다. 메모를 쓸 때 행의 구조나 순서나 구조에 연연하지 말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그러면서 “멋있게 할 필요 없어,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그냥 쏟아 내기만 하면 돼”라는 메시지를 매일 10회 이상 자신에게 들려주라는 팁도 알려준다. 단, ‘A4 용지에 가로쓰기’라는 형식은 저자가 수없는 시행착오를 거쳐 궁리해낸 것이니 반드시 지켜달라고 저자는 말한다.

 

 

 

 

메모에는 업무 관련 내용만이 아니라 내 삶의 여러 문제들을 담을 수 있다. 화가 나거나 누군가에 의해 감정이 상했을 때, 그것을 모두 메모에 쏟아 내면 된다. 나를 화나게 한 당사자의 실명까지도 그대로 적으라고 저자는 말한다. 메모하기를 통해 우리는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감정에 치우쳐 큰일을 그르치는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 불합리하고 억울한 상황을 만났을 때, 20분 정도 메모에 쏟아 내면 개운해진다고 한다. 이러한 메모 쓰기는 기획서를 작성할 때도 활용될 수 있다.

 

 

 

오랫동안 메모 쓰기를 해왔다는 저자는 독자들이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한다. 저자는 여러 번 시도해 본 결과 하루에 10페이지가 가장 이상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고 말한다. 하루에 10가지 주제면 그날의 고민과 과제를 모두 정리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그 날의 고민을 끝낼 수 있고, 다음 날부터는 같은 고민거리를 지니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저자는 이면지를 활용하라거나, 샤프는 절대 추천하지 않으며 직액식 수성 볼펜이 적합하다는 등의 알뜰한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수해준다. 또한 메모 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이들을 위해 메모의 제목 예를 무려 400개나 들어주고 있으니, 이보다 더 자상한 안내는 없을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나도 내 나름대로 실습을 해보았다. 이를 테면 약을 복용하고 있어서 내가 좋아하는 초콜릿을 먹지 말아야 하는 상황을 견디기 같은 문제로 말이다.(사소하게 생각하실 분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내게는 절실한 문제다.) 반신반의하는 심정으로 한 번 해봤는데, 맙소사! 효과가 있었다. 이 책을 읽기 전날까지만 해도 참지 못하고 초콜릿을 몇 알 먹고 말았는데, 메모 쓰기를 실천하면서 초콜릿을 왜 먹지 말아야 하는지, 먹었을 때 어떻게 얼마나 좋지 않은지 등이 빠른 시간에 정리되면서 내 두뇌가 설득되고 있는 것을 느꼈다. 관건은 메모 쓰기를 지속해 나가는 것일 테다. 나는 메모 쓰기가 어떻게 내 두뇌와 내 삶을 변화시켜나갈지 기대하면서 메모 쓰기의 세계에 첫걸음을 내딛으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