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차의 애프터 파이브 - 막차의 신, 두 번째 이야기
아가와 다이주 지음, 이영미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2월
평점 :
첫 차의 애프터 파이브

오늘밤, 그들은 눈물 어린 희망의 시간 위를 걷는다. 8월의 마지막 금용일 밤, 대중교통이 끊긴 후에도 여전히 활기차게 살아 숨 쉬는 '신주쿠'를 배경으로 5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막차의 신은 늦은 밤 막차에 올라탄 사람들의 이야기도 희망과 감동을 불러일으킨 이야기였다고 한다. 후속편으로 나온 '첫 차의 애프터 파이브'도 말 그대로 애틋하고 가슴 시린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일본소설을 즐겨 읽지 않음에도 호기심이 생긴 이유는 첫차, 막차라는 소재이다. 무엇이든 처음과 끝을 나타내는 것은 중요하고 소중하고 뜻을 담고 있다는 평소의 생각에서 비롯된 호김심이다. 기대에 어긋나지 않고 특별하지도 그렇다고 소란스럽지도 않게 담겨진 이야기들은 제 각각의 빛을 발한다.
두번 째 이야기인 '스탠 바이 미'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단편 드라마로 만들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쉽게 다가갈 수 없는 노숙자와 가수 지망생 아가씨의 이야기는 아침해를 바라 볼 때 느껴지는 벅찬 감동을 안겨주었다. 인생 맨 밑바닥이라 할 수 있는 노숙자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존재이며 그 또한 인생을 그렇게 살고 싶어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도무지 용기내지 못하는 두려움을 주위의 작은 도움만으로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며 누군가에 내미는 작은 도움이 결코 작지 않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했다. 돌아갈 곳이 없는 자와 돌아갈 곳을 버리고 떠나온 자의 근본은 다르더라도 느끼고 생각하는 공통분모가 있어 이해가 빠르고 서로에게 따뜻한 위로가 된다.
첫차를 타고 일터로 향하는 이란 말이 어찌보면 상식적인 것이라 생각되고 그런 주제로 방송이나 글이 많이 소개되는데...첫차를 타고 퇴근하는 아니면 하루를 마감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여서인지 왠지 모를 씁쓸함과 허무함이 느껴졌던 것 같다. 보통의 사람들과 다른 생활 패턴이 어떨 때는 이상한 사람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런 이들 없이 우리의 생활은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음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아야 할 것이다. 나와 다름 삶을 인정하고 그 속에서 극히 작은 배움거리가 존재 함에 배우고 희망을 갖고 그렇게 맞물려 세상은 살아가는 것이리라 . 이 글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무언가 하나씩 결여되어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삶의 끈을 좀 더 바짝 당겨 잡으며 희망을 갖게 한다. 코로나로 지쳐가는 요즘 나에게 위로가 되어 주었고 주위를 둘러보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이 작가의 막차의 신도 무척이나 궁금하다.


“돌아갈 곳이 있는 사람은 모두 막차로 돌아갈 시간이야.” 눈앞에서 고기가 익어갈 무렵에는 주변 테이블의 손님들이 잇달아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갔다. 냉면을 먹기 시작할 때는 조금 전까지 만원이었던 가게 안에 우리 둘만 남았다. 와타나베 씨가 불쑥 입을 열었다. “막차를 타러 서둘러 가는 사람들을 볼 때가 제일 외로워.” 막차는 ‘돌아갈 곳’이 있는 사람을 위한 교통수단인 것이다. 돌아갈 곳이 없는 와타나베 씨, 돌아갈 곳을 버리고 떠나온 나. 대화가 잠시 끊긴 사이, 어쩌면 우리 두 사람은 같은 생각을 했는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