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의 단어 - 당신의 삶을 떠받치고 당신을 살아가게 하는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편의 단어앞에는, ‘당신의 삶을 떠받치고 당신을 살아가게 하는이라는 문장이 붙어있다. 처음에는 보편의 단어라는 제목이 이전에 읽었던 언어의 온도, 말의 품격과 비슷한 라임을 느끼게 해서 처음부터 정감이 갔다.

(17년도 여름, 언어의 온도 책에 사인을 받았던 때가 엊그제처럼 생각이 나기도 했고 ㅎㅎ)

 

새해가 되고, 팀워크와 일 때문에 굉장히 피곤하기도 했고 감기가 유행이라는 데 요리조리 잘 피해 다니다가 후두염에 걸렸다.

이틀 전부터 목 어딘가가 조금 따끔 거리 길래, , 우리 집이 좀 건조하구나 싶어서 물을 마시고 비타민을 섭취했다. 아침에 일어나서 또 물 좀 마시니 괜찮은 거 같길래 예전에 이러다가 목감기 걸렸던 거 같은데 ㅎㅎ이러고 오늘 아침부터 목이 심히 건조하더니 이건 병원가야 해라는 마음의 소리에 오전 근무 중 팀장님께 보고하고 후딱 이비인후과를 갔다. 네이버에서 대학병원 수준의 진료 및 환자 중심 처방이라길래 믿고 갔더니, 사람이 많아서 거의 30분 가까이 기다렸다. 진료 때 마지막으로 목(?) 내시경을 보는데 뭔가 음영이 짙길래 내 목젖이 어두운가?’했더니 정상인 상태의 목구멍을 보여주시면서 아주 그냥 염증이 심하다고 주사 한 방, 약 처방을 내려주셨다.

 

갑자기 이런 시시콜콜한 내 이야기를 하는 것은, 오늘 책에서 정말 딱 맞는 한 부분을 찾았기 때문이다.

 

p.126~p.129

(중략)누구나 휴식을 갈망한다. 하지만 막상 평소에 어떻게 쉬세요?”라는 질문을 받으면 멍한 표정만 지을 뿐 곧장 대답하지 못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중략)그렇다면 언제 어떻게 쉬는 게 좋을까? (중략)내 경우를 좀 더 이야기하자면, 갑자기 모든 걸 내려놓기보다 적당한 고요에 둘러싸인 채 좋아하는 걸 하면서 에너지를 충전하는 편이다. 차 안에서 가사 없는 음악을 듣거나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내려놓고 서점 구석에서 한가로이 책을 읽는 날도 있다.

이때 업무를 처리할 때와는 전혀 다른 자세로 음악을 듣고 책을 본다. 일할 때와 같은 동작으로 휴식을 취하면 여전히 일을 하는 것으로 우리 뇌가 착각할 수도 있다(후략)균형의 문제는 곧 삶의 문제다.

 

그간 내가 해왔던 휴식의 방향을 돌아보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글을 쓰겠다고 한 후로, 한 번도 글 쓰는 행위에서 완전히 분리된 삶을 살지 못했고, 그 행위에서 기쁨을 얻었던 예전과 달리 늘 약간의 스트레스와 업무적인 사고로 방법론으로만 접근하는 내 모습을 보고야 만다.

 

그리고 책을 읽는 행위조차도 부족한 문해력을 채운다거나, 공학도가 아니었으면(?) 채우고 있을법한 문학도의 배경을 인위적으로 욱여넣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솔직히 말하면, 그것에서 서서히 해방되게끔 했던 첫 챙이 언어의 온도였다. 좋은 글을 쓰고 싶은 작가가 글에 힘을 빼고 한 권의 책을 만든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통감하는 와중에 오늘의 보편의 단어가 정점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의 독서는,

나에게 휴식을 선물한 보편의 이야기를 안겨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