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력 -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선종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사이토 다카시의 <내가 공부하는 이유>를 매우 인상깊게 읽고 나서 이 분의 <독서력>을 읽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책인데 옷을 갈아 입었네요. 

얇지만 알찬 '독서'에 관한 어른들의 계몽서 같다고나 할까요?

10대 아이들은 책을 읽으면 오히려 왕따를 당하는 '책따'가 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성인이 되면 취업,교양,자기계발 등을 이유로 책을 가까이 해야 하는 것을 몸소 실감합니다.

그러면서도 책을 읽으려 하면 내가 무얼 필요로 하는지, 어떤 책을 좋아하는지 조차 몰라서 서점에 갔다가 그냥 베스트셀러 아무거나 집어 나오기 쉽상이지요.

 

저자는 책을 읽음으로써 얻는 것은 단지 지식이나 교양이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저자가 말하는 '독서력' 이란 독서를 즐기는 것과는 다른 것이라고 합니다.

저도 요즘 취미를 '독서'라고 말하고는 있지만 저자가 말하는 '독서력'의 조건에는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독서력이란 일단 '문학작품 (추리물, 오락물 제외한 소위 추천도서) 100권과 교양서 50권' 정도는 읽어야 독서력이 있다라고 저자는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문학작품 100권으로 정한 것은 그 정도여야 독서가 '기술'로서 넘어가는 경계라고 저자는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교양서 50권도 대략 한달에 한 두권을 목표로 약 2년에서 4년간 읽는 양이라고 하니, 쉽게 쌓이는 것은 아니랍니다.  정말 독서를  '습관'으로서 몸에 베게끔 해야 독서력이 생기겠지요?

 

책 초반부에는 책을 읽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안읽어도 상관없다는 요즘 사회풍토를 매우 강하게 비난하고 안타까워 하고 있습니다.  책 말미에 가면 두 사람 이상 모여 독서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얼마나 긍정적이고 좋은 결과를 양산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답니다.

 

저는 격주로 지역 엄마들과 소그룹으로 모여 같은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독서모임'에 참여하고 있어요.

다음주에 모일 책이 바로 이 '독서력' 이랍니다.  독서모임인데 우리의 독서가 과연 양질의 독서인지 아닌지 점검도 하고 앞으로 어떻게 독서를 통한 발전을 꾀할지 이야기를 나눌 생각에 벌써 마음이 두근거려요.

 

<독서력>의 마지막 부분에는 이런 '독서토론', '독서모임' 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솔깃하게 읽었습니다.  거창하게 모이지 않고 단 둘이 이야기를 나누더라도 읽은 책에 대해 주거니 받거니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타인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보고 내가 책에서 지나친 부분을 찾게 되면서 인간관계는 물론 깊이감 있는 독서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가 지금은 주부의 위치에 있지만 만약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면 뜻맞는 동료 한 명이라도 섭외해서 점심시간, 또는 짬나는 시간에 읽고 있는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 격려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독서력에서 '책을 선물하기'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받는 사람의 취향이 아니더라도 이 부분만은 꼭 읽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포스트잇으로 중요부분을 표시해서 선물한다면 주는 사람도 받는사람도 부담스럽지 않다는 부분도 참 인상 깊었지요.  또 책은 빌려 읽는 것보다는 구매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 줄치고 메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가장 뜨끔했던 내용은 한번 깨끗하게 읽고 되팔기 위해서 아무 표시도 안하는 독서를 짚은 부분이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책에 표시하는걸 싫어하고 정리할 땐 알라딘 중고서점을 이용하거든요.  어찌 보면 알라딘에 내놓기 위해 책을 깨끗이 보는지도 모르지만요. -_-;;;;  소설이나 오락용 책은 깨끗이 보더라도 그렇지 않은 책은 저에게 더 유익하도록 표시를 남겨야 겠어요. (하지만 이 독서력 책도 깨끗이 읽고 말았네요.)

 

책을 마지막 페이지 까지 읽지 않더라도 저자의 의도가 파악되었다면 그 책은 '읽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은 마음에 들었어요. (그렇다면 제가 읽은 책의 양은 더욱 늘어나겠군요!)  하지만 유행에 휩쓸린 독서나 깊이가 없는 가벼운 책들로 채워진 독서, 그리고 속독에 치우친 독서를 경계해야 겠더라구요.

 

제가 책을 가까이 하고는 있지만 아직 독서초보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고, 이제 좀더 내실있는 독서를 위한 참고서를 보게 되어 참으로 반갑고 좋았던 <독서력> 이었답니다.  부담스러운 분량이 아니니 올해 책읽기를 잘 하고 싶으신 분들은 꼭 한 번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