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통공은 어디에 쓰는 거예요? 모퉁이책방 (곰곰어린이) 39
필리포스 만딜라라스 지음, 엘레니 트삼브라 그림 / 책속물고기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속 물고기 출판의 곰곰어린이 아동문고 시리즈 39 <통통공은 어디에 쓰는 거예요?>를 읽었습니다.

얇은 문고판이라 휴대성이 좋고 읽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아서 큰 아이 학교에서 독서할 책 가지고 오라고 할때 챙겨갔던 책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처음 읽어보면 '재미'의 차원에선 흥미가 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읽을 때에는 내용이 '재미'보다 더 중요한 '메세지'가 느껴졌기에 아이와 책을 읽고 느낌을 이야기 하는데에도 괜찮았던 책이었습니다.

 

주인공이 어렸을 적 살던 도시에는 '논다', '장난감', '신나는'이라는 말의 뜻을 아이들이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이 도시는 겉으로는 평범했지만 어른들은 모두 돈버느라 일하기 바빴고, 아이들은 돈잘버는 어른이 되기 위해 학교에서 '공부'를 해야했습니다.  서로 바빠서 대화할 시간도 없었습니다.

어느날 아이들의 토론 시간에 하늘에서 공이 떨어졌고 처음보는 물체에 호기심을 가진 아이들은 통통 튀어 돌아다니는 공을 쫓아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아이들은 '공'이라는 존재를 처음 봤기에 왜 쫓아다녀야 하는지도 모르고 뛰어다녔습니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쓸데없는 물건에 신경쓴다고 당장 없애라고 했습니다.  아이들은 이유는 모르겠지만 공을 지켜야 겠다고 생각했고 이 문제는 점점 커져서 온 도시의 경찰이 출동할 만큼 큰 사건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다 공이 하늘에서 수없이 떨어졌고 사람들은 모두 축제처럼 흥분해서 신나게 공을 주우러 다녔습니다.  결국 아이들은 이런게 신나게 노는 것이며 장난감이라는 존재의 필요에 대해서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통통공은 어디에 쓰는 거예요?>는 프랑스 작가가 쓴 작품입니다.  아이들이 어른들의 지나친 제약과 규범에 갇혀 그들만이 누려야할 당연한 '놀이'에 대해 원천적으로 봉쇄되었고, 아이들은 왜 공부를 해야 하고 좋은 직장을 가져야 하는지 제대로 깨닫지도 못한채 조용한 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마 이 책을 읽는 초등독자들이라면, 하고 싶은 놀이를 마음껏 누리지 못했다는 동질감에, 어른들이 공부하라고 해서 억지로 공부하고 있는 현실과 비슷해서, 책 속 아이들의 상황이 안타깝게 여겨질 것 같습니다.

책 내용이 끝난 뒤쪽에는 빈칸으로 남겨진 질문들이 있습니다.

 

-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장면과 이유

- 아이들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 어떤 권리가 있으면 좋을지?

- 어른들이 가장 싫을 때는 언제인지, 어른들이 어떻게 해주면 좋을지?

- 학교에서 친구들과 뭘 하고 놀 때 가장 재미있는지?

 

위의 질문에 아이들이 곰곰히 생각해보고 답을 말해줄 때 엄마인 저도 귀기울여 들어야 겠다고 생각을 했어요.

이 책은 어른들의 잘못으로 아이들이 정작 누려야할 '놀 권리'를 빼앗겼다는 점이 가장 핵심입니다.

통통공의 등장으로 아이들은 논다는 게 무엇인지, 맹목적으로 즐거움을 따라가는게 무엇인지 경험합니다. 

 

부모가 볼 때엔 '빈둥빈둥 놀기만' 한것 같은데 아이는 항상 '잘 못놀았다' '제대로 놀질 못했다' 라고 하는 걸 자주 겪게 됩니다.  요즘 환경이 워낙 아이들 놀기에 좋지 않고 각박해지다 보니 책 속 아이들이 사는 도시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어린이들이 더 불쌍하고 '권리'를 제대로 누리고 있지 못한다는 생각이 떠나질 않네요.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고 생각해볼 시간을 갖게 하는 얇지만 속이 꽉찬 어린이문고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