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엄마의 힘 - 절반의 사랑을 감추고도 아이를 크게 키우는
사라 이마스 지음, 정주은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인 교육법>은 육아서, 자녀교육서 코너를 기웃해보신 엄마들이라면 접해 보셨을 겁니다.  요즘 뜨는 프랑스식, 북유럽식 육아법 이전부터 '유대인 교육법'은 우리에게 제목만으로도 익숙했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유대인 교육법이라는 말이 익숙하긴 했지만 책을 직접 읽어보긴 처음이었어요.

위즈덤 하우스의 자녀교육 신간 <유대인 엄마의 힘>의 제목 전체는 '절반의 사랑을 감추고도 아이를 크게 키우는 유대인 엄마의 힘' 입니다.

 

저자 사라 이마스의 나이는 우리 어머니 세대인 것 같습니다.  자식들이 30대 이후인데다 손녀도 있지요. 유대인 이민가정 출신으로 중국에서 지내다가 결혼 과 이혼을 겪은 뒤 2남 1녀를 데리고 순전히 '맹모삼천지교'의 덕목을 행하기 위해 이스라엘로 '역이민'을 갑니다.

그리고 그녀의 뿌리박힌 중국식 교육에서 유대식 교육법으로의 힘겨운 탈바꿈이 시작이 됩니다.

 

우선, 이 분의 의지와 노력에 정말 감탄했습니다.  쉽지 않은 결정, 쉽지 않은 변화... 그 모든 것을 감내하고 2남 1녀를 누가봐도 훈훈하고 훌륭하게 키웠으니까요.  성공한 사람들의 '결과'가 눈에 보여야 그 사람의 과정을 들여다보고 인정해 주는 한국인의 정서 때문인지 저 역시 이 분의 역경의 과정보다는 '그래서 이 아이들이 지금 뭐하고 지내는가'에 더 관심이 많았습니다. 결론은 완전 '부럽다' 입니다.  아마 우리 나라의 젊은 엄마들이 바라는 '자기주도형' '능동형' 인간이 바로 저자의 자녀들이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부와 명예도 같이 쌓고 있었습니다. 

 

저자의 중국식 육아법에서 유대식 육아법으로의 전환 과정과 핵심내용을 함께 음미하면서 제가 양육해온 방식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과잉...저 역시 우리 아이들에게 지나친 사랑을 잘못되게 표현하고 있었습니다.  다칠까봐, 슬플까봐, 울까봐,실패할까봐....아이가 직접 겪어도 될만한 작은 어려움 조차도 미리 막아버리는 온실 속의 화초 주인이나 다름 없었습니다.

 

책 내용 중에 인상 깊은 것은 '그런 교육을 이스라엘에 퍼뜨리지 마세요' 였습니다.  중국식 과잉 육아법을 본 이스라엘 아이들이 영향을 받을 까봐 이웃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합니다. 한국사람은 어떨까요...? 중국은 이미 한 자녀 키우기가 정착 되어 '소황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지 오래지만 우리 나라도 극성으로 따지면 대륙의 열정은 비교도 안될 것 같습니다.

 

유대인식 교육법은 바로 '능동' '자율' '책임' 을 어떻게 어린 시절부터 체득하게 하느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집안일 돕기 같은 작은 일부터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율적으로 계획을 짜고 지키며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상벌에 따르는 아이들의 모습은 우리 눈엔 다소 심하다, 가혹하다 느낄 수 있었지만 그들이 성장했을 때 오히려 든든한 영양분이 되는 교육법이었습니다.  안전은 보장해주되 한 걸음 뒤에서 아이를 지켜 봐주는 교육이었습니다.  실패를 직접 체험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생각과 행동을 직접 해보며 시행착오를 겪게 해보는 교육, 그래서 어른이 되어도 주체적으로 문제해결을 하고 자신의 일을 찾아 나서는 그 모습이 정말 인상 깊고 감동적이었습니다.

 

2남1녀 아이들을 홀로 키우느라 정말 고생이 많았겠지만 그 와중에도 유대인식 교육법을 엄격하게 따랐던 저자에게 정말 존경심이 생기는 책이었지요.   유대인식 교육은 '독서'와 '질문'을 강조합니다.  책을 읽고 생각하고 질문하고 토론하며 자신의 생각과 지식도 넓히고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배려와 이해심도 키우는 것이지요.  그리고 공부에 대한 열정과 호기심을 스스로 찾아 파고들게끔 하는 환경이 저절로 형성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 뉴스기사에서 우리 나라 학생들의 행복지수가 OECD 국가중 꼴찌라는 내용을 읽었습니다.  학업성취도는 높지만 행복지수는 최하위... 아이들이 너무 불쌍합니다.  왜 먹어야 하는지 모르면서 엄마가 떠먹여 주는 대로만 가고 있습니다.  저도 이런 대열에 휩쓸리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혼자 올곧게 갈 것이라고 자신만만 한 것도 아닙니다.  <유대인 엄마의 힘>에서 느낀 작은 깨달음을 많은 엄마들이 함께 실천했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낱말 중 하나는 '역경지수 (AQ: Adversity Quotient)' 입니다.  유대인들은 '좌절교육' 이란 걸 한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에서 해마다 좌절을 겪고 재기에 성공한 사업가들의 명단을 발표하는데 이들의 특징이 바로 '역경지수'가 높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유대인들의 강조했던 교육법은 바로 인간관게, '사교성' 이었습니다.  우리는 어린 아이 부터 '학습능력'과 더불어 '사회성'을 고민하지만 정작 그 사회성을 제대로 키워주기 전에 '학습경쟁'을 유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유대인 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 제 경험상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는 결코 중요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전능력과 소통능력 입니다.세계 최고의 대학을 졸업했어도 기본적인 소통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성공할 수 있겠습니까?" p. 73

책을 다 읽고나면 한숨이 나옵니다.  우리는 뼛속부터 대대로, 소통도 안되고 일방적인 상하관계에 익숙하며 변화를 부르짖지만 정작 변화를 원하는 세대 조차도 방법을 모릅니다.  많은 반성을 하게 하고 또 쉽지 않겠지만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인식의 전환을 반드시 해야겠다는 결심이 서게 됩니다.  한 번 읽어보세요.

 

 

 

*위즈덤하우스 퍼플소셜평가단 4기 활동으로 제공받은 책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