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쫌 아는 10대 -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는 다양성의 힘 과학 쫌 아는 십대 20
김성호 지음, 도아마 그림 / 풀빛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 매체에서 생물다양성이라는 말을 많이 듣곤 하는데 과연 생물다양성이 무엇인지 궁금해지기도 하고 생물다양성과 지구 생태계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궁금했기에 10대인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았던 책이었어요.






이 책을 읽어나가려면 일단 생물다양성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봐야겠죠. 생물다양성은 자연에 존재하는 수백만 종의 동물· 식물· 미생물, 그들의 유전자, 그들 삶의 터전인 생태계를 포함한 생명 현상의 모든 수준에서의 다양성을 말한다고 해요. 간단히 말하면 지구의 건강성을 가늠하는 잣대로 종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합한 표현이라고 해요.


지구에 사는 생물종이 다양하고 생물종의 숫자도 많아야 좋다는 종 다양성, 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일에서 살아남기 유리한 유전자의 다양성,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해야 종 다양성과 유전자 다양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는 생태계 다양성 등 이러한 생물다양성이 있어야 지구가 건강하게 유지되고, 자연으로부터 필요한 것을 제공받는 인류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거겠죠.





그런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현존하는 생물종의 25퍼센트가 멸종 위기라고 해요. 생물의 멸종은 곧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뜻하고 그것은 지구전체의 문제라는 거죠. 우리나라의 멸종 위기종은 Ⅰ급 51종, Ⅱ급 195종으로 총 246종인데 정작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생물종에 대한 연구는 침체되어 있는 현실이라고 하네요.





너무도 중요한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유발하는 큰 원인 중 하나가 기후변화라고 해요. 생물종에게 직접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고, 서식지 환경의 변화 혹은 서식지 상실로 이어져 생물종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고 하네요. 그런 기후변화의 원인은 말할 것도 없이 환경 훼손이겠죠. 편리함을 얻은 대신 지구 환경이 망가지는 상황이 생겼고 그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생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어가는 상황,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등 인간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파괴되어 가는 현실이 참 안타까운 것 같아요.





그럼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서 기후 위기에서 벗어나고, 개발을 최소화해서 생물의 서식지를 보존하고, 생태계에 외래종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생물종에 대한 연구도 계속해야하고...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죠. 그 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온실가스를 최소화 하는 생활이겠죠. 환경부에서 권하는 녹색 생활이라는 것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지구를 살리기 위해서 해야한다고 배웠던 것들이네요. 이런 것들을 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이 생물다양성을 지키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겠죠.




생물다양성이라는 것이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쉽게 말하면 사실 우리 주변에 현존하고 있는 다양한 생물들과 함께 공존해나가는 것이 바로 생물다양성이 유지되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도 일상에서 녹색 생활을 해나가면서 다양한 생물들과 오래도록 공존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죠. 그 노력으로 현재의 생물다양성이 더이상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길 바라네요.






<출판사로부터 협찬받은 책으로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