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것도 부른다면 - 박보나 미술 에세이
박보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무엇이든 제목이 반은 가지고 들어간다고 생각한다. 특히 책이라면, 책 안에 실린 모든 글들은 제목과 동떨어질 수 없다. 그래서 책을 고를 때 제목을 가장 먼저 보는 편이다(당연한 소리지만). 책 제목을 읽었을 때 입에 착 달라붙는다면, 그 책은 나에게 꼭 읽어야만 하는 책이 된다. 그리고 바로 온라인 서점 장바구니에 들어가는데... 아마 내 장바구니가 항상 50만원 넘는 가격대를 유지하는 건 그래서인가 보다.


<이름 없는 것도 부른다면>을 읽게 된 것도 제목 때문이다. 무언가 내 심장에 와서 콱 박히는 느낌이었고, 영어로 된 제목도 마음에 들었다. <When We Call Every Single Being>. 번역했을 때 한국어 제목과 완전히 같은 뜻은 아니지만, 이런 의미로 이런 제목을 붙였구나 하고 생각해볼 수 있었다.



2.


또 요즈음 주의 깊게 살피는 건 책의 만듦새다. 표지 디자인, 표지 종이의 종류, 내지의 색과 글씨체 같은 것들. 물론 안에 실린 글이 어떤 모양인지(또다시 글씨체와 줄간격 같은 것들)도 열심히 본다.


<이름 없는 것도 부른다면>은 미술 에세이라 그런지 책의 만듦새가 전시회 도록을 떠올리게 한다. 보통 책 내지는 미색인데 이 책은 흰색이고, 아마도 아트지인 것 같다. 부드럽지 않고 매끄러운 재질이다. 글자도 명조체 계열이 아닌, 좀 더 장식성이 강한 폰트를 쓴 것 같고. 책의 구성 자체도 어떤 미술 작품인 것 같은데, 이건 읽으면서 계속 봐야 딱 박혀들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다 내 생각일 뿐이고 틀린 점이 더 많을 수도 있겠지만, 책 자체가 의도를 가진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느껴져서 몰입이 쉬웠다.


(책 디자인도 물론 예술의 한 종류다... 써놓고 보니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내 감상의 일부니까 부끄러워도 지우지 않기로 한다...)


표지 사진, 아니 표지 작품이라고 해야 하나, 이 작품도 굉장히 인상적이다. 마음 같아선 표지의 작품에서 돌을 들고 있는 것처럼 나도 책을 들고 비슷한 포즈로 사진을 찍어볼까 했지만 그만두었다.



3.


표지에 딱 박혀 있다.


"박보나 미술 에세이"


제목과 책 소개에서 이 책이 어떤 미술 작품을 다루게 될지는 짐작했지만, 그 미술이 내가 알던 것과 많이 다를 거라곤 예상하지 못했다. 내가 상상할 수 있었던 건 회화가 고작이었다. 하긴 그것도 당연한 것이 내 미술 지식은 고등학생이던 시절, 그것도 1학년 때 잠깐 들었던 수업에 멈추어 있다. 내 안에서 미술은 움직이지 않는다. 움직인다고 해 봤자 모빌의 움직임이나 비디오 아트의 움직임 정도일까.


책을 읽으며 내 앎이 얼마나 저차원이었는지 드디어 인식하게 되었다. 세상에는 다양한 표현이 있고, 이 수많은 표현들이 잊혀지기 쉬운 존재들을 그리고 있다. 미술 에세이라고 하면 회화 작품이 대다수일 거라고 생각하는 게 얼마나 편협한 사고방식인가. 내가 부른 적 없던 수많은 이름들을 지금이나마 불러 보면서 많이 부끄러웠다.



4.


우리는 번번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만 대상을 바라보며, 그들을 함부로 대한다. 가장 작은 존재들조차 주체적인 존엄성과 독립성, 그리고 개별적 성격이 있다는 것을─내가 지어주지 않아도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쉽게 잊어버리곤 하는 것이다.



5.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전시회를 관람하고 있고, 작가님이 안내인이 되어 작품에 대해 설명해주는 듯한 느낌이었다. 한 편의 전시를 관람한 기분이니까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을 꼽자면, 오스카 산틸란의 <서성이는 계>를 꼽을 수 있겠다. 두 번째 꼭지에서 소개하는 작품인데, 이 부분을 읽다가 몇 번 책을 덮고 표지를 다시 살폈다. 이게 진짜 미술 에세이였나..? 하면서. 그만큼 나에게는 충격이었다.


(이후로 편견이 많이 깨져서 뒤에서 소개된 작품들에는 형식이 주는 충격이 덜했다.)


클래식 음악을 전공한 엄마 덕에 나도 클래식은 부족함 없이 접했다. (이쯤에서 뻔한 이야기 하나 더 하자면, 나는 클래식도 좀 편식을 하는 편이고... 바로크와 고전 음악을 좋아한다...) 바흐나 베토벤이 아닌, 숲에서 새소리를 연주하는 음악가... 그 퍼포먼스를 촬영한 사진도 아주 의미심장하다. 그와 동시에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얼마나 인간 중심적인지를 생각했다.


숲에 가면 새소리가 들린다. 보통, 새들은 소리는 들을 수 있어도 모습을 보기는 아주 어렵다고 한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수많은 새들이 사라지고, 우리는 그것조차 눈치채지 못하겠다, 하는 생각이 불쑥 들었다. 그러고 나서 다시 <서성이는 계>에 대한 설명을 읽고, 퍼포먼스를 찍은 사진을 보니 마음이 먹먹했다.



6.


무지를 다정하게 깨우쳐 줄 필요는 없다. 그러나 무지를 깨달으면서, 그 과정이 다정했다고 느끼면 그 충격이 좀 더 오래 가는 것 같다. 뒤통수가 얼얼하도록 한 대 맞은 게 아니라, 렌즈를 바꿔 끼고 세상의 선명함을 되찾은 기분이라고 해야 할까. <이름 없는 것도 부른다면>은 그런 방식으로 독자를 이끌고 있다.




한겨레출판 서평단 하니포터1기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름없는것도부른다면 #하니포터 #도서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