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살의 흔적 - 죽음과 의혹에 현직 법의학자들의 현장 리포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법의관들.강신몽 지음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평소 CSI나 해양과학수사대등 실제로 보이는 수사 외에 숨은 흔적까지도 과학적으로 탐미하고 찾는 과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라 도서 타살의 흔적에 대한 기대가 깊었습니다.
외국에서는 미드를 통하여 간접적인 경험으로나마 그나라의 수사방식이 얼마나 꼼꼼하고 치밀한지와 그에 따른 뒷받쳐주는 시스템등으로 놀라움을 금치 못했죠.. 이것이 정녕 이 시대의 문명이자 과학이구나 생각에 말이죠..
그런데 국내의 시스템상으로는 그에 발미치도 못따라가는데라 어느 곳에나 있겠지만 특히나 국내 사정상 뭔가 간략하다는 느낌마저 갖고 있어 신뢰감은 높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타살의 흔적을 보면서 본래 갖고 있던 믿음에 대한 불신감이 더해졌고 이 얼마나 허술한 과학수사를 펼치고 있는지 콕 짚고 있는 것 같아서 속 시원한 한편 왜 우리는 제자리에 머물며 점점 도태되어 가는 것인지 하는 씁쓰름함이 들더군요
각 카테고리별 사건의 정황과 원인, 사후처리 등에 대한 수사 일지를 엿볼 수 있어 좋은 시간이고 100분토론과 같이 의견을 펼쳐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취지는 다르겠지만 TV프로 불만제로와 같이 국내의 미약한 점을 고발하는 것 같아 언론 자유의 힘이 팍팍 느껴지더이다..
평소 키워드 수집이 잦은지라 금융감독원 자살사건 등에 게재되어 잇는 것처럼 자살에 관한 관련 키워드의 의미를 상세히 알려주어 의미있는 지식을 습득할수 있어 괜찮았습니다.
오래된 사건부터 최근 유명 연예인의 자살등 사건을 토대로 다소 어려운 용어가 등장하지만 사후를 들여다보는 것뿐만이 아니라 마주하는 예와 대처에 필요함이 무엇인지를 일깨워주기라도 하듯 책 제목 그대로 타살의 흔적.. 그 자취를 찾아가는 과정 이 마냥 지루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 역사 속 죽음, 현대 법의학의 해석(조선 왕 독살사건) 中
.. 그러면 시체에서 풍기는 냄새의 정체는 무엇일까? 흔히 이 냄새를 '시취'라고 하는데 이는 시체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물질의 냄새다.사람은 시체가 썩기 시작하기 전까지는 거의 냄새를 느끼지 못한다. 시체가 썩을때 나는 악취는 부패 가스, 특히 단백질이 분해되어 나오는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냄새다. 황화수소는 화학식이 H2로 색깔은 없지만 냄새는 고약한 기체다. 달걀 썩는 냄새가 바로 그 냄새로 유독성 가스로 취급된다. 암모니아는 화학식이 NH3로 역시 색깔이 없고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풍긴다. 두 물질 모두 독성이 강해 공기 중 농도가 1,000~1,500ppm이 되면 사람은 급성중독을 일으켜 실신하거나 즉사할 수 있다. 그러나 다행히도 시체가 썩을때 나오는 양은 실내의 공기를 이처럼 오염시킬 정도는 아니다. 공기중 암모니아 농도가 50ppm이 되면 특유한 냄새가 인지되며, 황화수소는 5~8ppm이 되면 불쾌한 냄새를 심하게 느낀다.....
시체는 결코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문구처럼 말하지않는 시체가 꼭꼭숨겨든 물증을 찾고 파악하여 좀 더 나아진 방향의 과학 수사가 이루어졌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