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도시 기행 1 - 아테네, 로마, 이스탄불, 파리 편 유럽 도시 기행 1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시민작가가 알쓸신잡에 이어 여행기까지. 아직까지 읽어본 책중 가장 최고의 여행기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일본, 중국여행이다.
난 김훈작가의 자전거여행같은 여행기는 감당하기 힘들다. 세세한 묘사로 인해 내 머리는 터질듯한다. 그래서 처음 향일암에서 덮고 말았다.
세계적인 문호인 니코스 카잔차키스와 비교하는건 좀 심했지만, 유시민의 여행기도 괜찮았다.
무엇보다 여행을 바라보는 시선이 나와 비슷하다. 그 지역의 유적과 문화보다는 그 지역에서만 느낄수있는 역사와 분위기 등 더 나아가 고통마저도 느낄수있다면 최고다. 물론 역사를 기반으로 한 인문학적 소양이 없다면 절대 불가할 것이다.
이 책은 제목끝에 1이 붙어있는걸 보면 시리즈로 만들어질 모양이다.
이 책에서는 아테네, 로마, 이스탄불, 파리 4개의 도시를 다루었다. 내년에 터키를 가고자 계획했다. 오르한 파묵의 발자취를 밟아보고자 였다. 하지만, 단색에 감춰져있는 무지개빛을 찾는건 한참후에 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가기로 마음먹었다. 작가는 많은 유적지, 박물관, 미술관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지만, 의외의 감흥을 보여준다. 감동, 교감보다는 슬픔, 분노를 느낀다. 나도 느낄까봐 루브르박물관에 가는게 주저될 정도다. 작가의 부인이 찍었다는 사진들은 알고 있어서인지 아마츄어의 사진으로 느껴진다..이걸 찍어줬으면 하는 사진들이 많았다.
한 도시가 끝날때마다 작가가 몇문장으로 표현한 도시의 의인화는 참으로 좋은 비유였다. 2권도 묻지마 구매할 계획이다. 추천드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년생이 온다 -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임홍택 지음 / 웨일북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대통령께서 청와대 식구들에게 사주며 추천한 책이기도 하고 다음주 오프라인 독서모임 책이기도 해서 읽어보았지요.
전 그다지 감흥이 없었습니다. 330페이지의 책을 가볍게 읽었습니다.
제 사무실에는 90년대생들이 많아요..가끔 여러 인생이야기로 잔소리를 할라치는 걸 좀 삼키기만 하면 그다지 세대차이를 느끼거나 90년대생들에게 공감을 못하거나 그런 일은 없어요.
90년대생에게 무슨 특별한 비밀이나 있는 것같아서 자세히 들여다봤지만, 제게 특별한 건 없었네요.
오히려 작가의 궤변을 발견하기도 했어요..쇼트쇼트문학이라 하여 일본의 星 新一의 작품들이 90년대생의 독서형태를 대변하는 것처럼 쓰여져있는데, 제가 星 新一의 작품을 좋아해서 많이 읽어본 독자로서 작가의 어설픈 지식이 엿보이더군요..그는 1996년에 작고한 작가로서 그의 작품, 특히 쇼트쇼트라고 말할수 있는 짧은 작품들은 대다수가 1960년대에 나온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빨라도 1980년대에 들어왔고, 제가 이 작가를 알게 되고 즐겨읽던 시절이 1990년대 초반이니 1990년대생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저와 같은 세대인 X세대와 관련이 있을것입니다.
또한 많은 내용들이 수많은 작가에서 끌어당긴 글들로서 제가 보기엔 제목덕택으로 베스트셀러는 될수있을지도 몰라도 스테디셀러는 절대 될수없는 책으로 보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몬테크리스토 백작 3 동서문화사 세계문학전집 61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이희승맑시아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대지않고 무너지게 만드는 방법.

순식간에 많은 일들이 일어나니 정신이 없네요. 나쁜 사람들이지만, 역시 그 사람들이 응징당하는 걸 지켜보니 불편하긴 합니다. 그리고 백작이 무서워보이구요.

빌포르 가문의 몰락을 보며,
빌포르부인이 독약으로 집안사람들을 몰살시킨 건 본디 백작의 계획이 아니고 당글라르부인과 바람을 피워서 사생아를 낳은것도 백작과는 관계가 없으니 백작 너무나 자책안해도 될것같아요. 삶이란 게 자신의 주관대로, 계획대로 되는 것이 아니지요.
일련의 정치가들의 행태를 보며 수신제가도 되지않은 채로 치국을 하려하는 걸 보면 사실 아직도 그에게 미련이 남은 팬이긴 하지만, 속상할 따름입니다.

아..가슴이 터질것같아요. 여운이 많이 남는 작품입니딘. 무엇보다 발랑틴이 살아서 모렐과 재회한 일, 백작님과 하이데가 새로운 사랑을 위해 떠난 사실 등 다행히 해피엔딩이네요..
너무나 고생한 백작님..가해자들이 생각보다 벌을 더 받은 것 같은 느낌은 들지만, 권선징악에 진실한 사랑 등 있을건 다 들어있네요..

인간이란? 죽음이란? 나에게 절망이란 어디까지 가게 할것인가?
복수는 해야하는가?
전쟁관련 작품을 봐도 인간이 극한 상황을 맞게 되면 인간성이 상실되드라고요.
몬테크리스토백작은 자신을 구렁텅이로 밀어내었던 사람들에게 철저하게 복수를 하지만, 그들의 자손들에게는 연민을 갖습니다. 본의아니게 벌을 받은 이들은 예기치않게 더 큰 벌을 자초해버린 부분에서 백작도 쇼크를 받기는 했지만, 자신의 마음도 다시 사랑의 마음으로 살아있음을 확인하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들더군요.
전 무엇보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들을 방문해보고 싶더군요.
특히 마루세유요..몬테크리스토섬도요.
아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의 이유 (바캉스 에디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김영하 작가책은 처음이에요. 기대를 너무 했는지 별로입니다. 한 두시간 쏴악 읽으면 될것같은 가벼운 책이네요.
여행에 대한 실수담을 포함한 소소한 일상들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많은 작가의 책들 속의 문구가 인용되는 데, 자기계발서에서 많이 나오는 기법으로 짜깁기로 만들고 있는 장들도 보이네요.
탈여행, 비여행에 대한 생각을 해봤습니다. 말하자면 매체를 통한 간접여행인거죠..장단점이 있지만, 제게는 여행으로 이끄는 좋은 매개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저에게 여행이라는 개념 자체가 작가의 생각과는 크게 다릅니다. 작가는 작가스럽게 즉흥적인 면이 많은 것같아요. 그리고 작가의 여행에 대한 변을 읽으며 김영하 작가에게 큰 무언가가 빠져있다는 생각이 계속 들더군요. 정체성..왜 이리 자신을 찾으려하지? 왜 이리 자신을 드러내보일려고 하지? 라는 생각이 많이 들더군요.
뒷부분에 작가의 유년시절이 그려졌는데 역시나...그는 유년시절 정신적으로 안정되지 못했더군요. 초등 6년간 6번의 전학, 나름 잘 자랐다고 자신도 이야기하지만, 매체를 통해서 본 김영하작가의 독특함을 보면서 세련됨인가하는 생각을 문득 해보았는데, 사실 그것은 그에게 상실감을 감추기위한 포장쯤으로 여겨지더군요.
이 책으로 전 여행의 이유보다 김영하 작가에 대해 많이 느끼고 생각하고 책장을 덮습니다. 무수한 연민이 다가오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을 나르는 버스 - 2016 뉴베리 상 & 칼데콧 명예상 수상작 비룡소의 그림동화 239
크리스티안 로빈슨 그림, 맷 데 라 페냐 글, 김경미 옮김 / 비룡소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수한 상을 휩쓴 그림책입니다. 다음주 독모에서 읽을 책이라 샅샅이 살펴봤지요.
사소한 것으로도 행복을 느끼는 할머니..손자 씨제이는 일요일만 되면 예배를 마치고 버스에 오릅니다. 버스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죠..느끼는 바 궁금한 내용을 씨제이는 가감없이 말합니다. 그럴때마다 할머니는 담담하게 이야기하시는데, 엄청난 철학과 내공이 담겨있습니다. 할머니와 씨제이는 마켓스트리트라는 곳에서 매주 일요일 급식봉사를 하는 거였어요. 행복을 나눠주기위해 거치는 단계인거죠..버스는..
책제목과 내용이 어딘가 어색함을 느껴 원제를 찾아보니 역시..느낌이 다르더군요. 원제를 그대로 번역하자면 마켓스트리트의 마지막 정거장이에요. 제 생각엔 할머니가 들어가야할것같은데..행복을 전해주는 할머니쯤..ㅋ.
사실 우리나라 그림책이 세계탑을 달리고 있어서 요즘엔 외국그림책이 그다지 눈에 들어오진 않네요. 하지만, 이런 소소한 행복을 느끼게 해주는 책들은 계속 나와야할것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