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임당을 그리다 - 내실에서 꿈을 찾은 예술가
정항교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4월
평점 :
국가의 몇 안되는 화폐속에 모자가 함께 , 여성으로는 유일하게
등장하는 사임당
사임당과 그의 아들 이이를 모르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거의 없을 듯 한
인지도의 신사임당..
그분의 꿈과 예술세계를 접할 수 있는
책이다.
1부와 2부로 나뉘어 1부는 예술가
사임당을
2부는 어머니 사임당을 다루고
있다
사임당은 스스로 지은 호다
중국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같이 훌륭한 분을
사모하고 본받는다는 뜻에서 지었다 한다.
문왕의 어머니는 태초의 태교를 실시한 여성으로
사임당도 이 태교를 실천했다고 한다.
이처럼 어려서 부터 스스로에 대한 열정과 교육,
예법에 강했던 사임당.
결혼후에도 남편을 10년간 학문케 한 일화는
유명하다..
사임당은 주변 자연의 풀벌레들을 소재로 섬세한
관찰력과 섬세한 필치로 그려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 유명한 초충도, 수박과 패랭이 등 그림을
보면 수묵 담채화로
생생한 표정과 농익은 채색이 격조가 있어
보인다.
사임당의 자수초충도는 자수품 가운데 최초로
보물로 지정됐다고 하는데
당시 전통 자수에서 한국 미를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다.
사임당의 시는 두 수 밖에 전해지지
않지만
7언 대관령을 넘으며 친정을 바라보다와
어머니를 그리며
국어책에서 접하기도 했던
시인데
다시 읽어보니 언어의 절제미와 비유법이
대단하다는 느낌이든다.
2부에서 만나는 어머니
사임당
몇 년전 4가족이 함께 가기도 했고, 동네 친한
맘들과 아이들 데리고 갔었던 여행에서도
들렀던 오죽헌박물관..
이이를 포함한 여러 자녀들이 당대 한 획을 긋는
예술가들이었다.
율곡이이의 천부적이고 탁월한 학문영역도
감탄스러웠고
다른 형제들의 능력에도 감탄사를
연발했는데
어머니 사임당의 교육적 노력에 존경심이 일
뿐이다.
몇 년전 오죽헌에 맞났던 오죽의 향취가 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