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의 나들목 여기는 항구
조성은 지음, 송진욱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5년 10월
평점 :
역사를 이해하고 역사를 안다는 것은
당시의 문화와 여러 관계들을 좀더 생생하게 나를 일원화 시키는 것 아닐까요?
피상적인 나열과 사건들만을 아는 것보다
좀더 시대상의 조건들, 역사적 상황들을 이해하면 훨씬 더 흥미진진할 듯 해요.
그런면에서 역사의나들목 여기는 항구편은
아이들이 어느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고 그당시를 최대한 체득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랍니다.
6곳의 역사적 항구를 당시 주된 역사적 유물을 일인화 시켜서 이야기를 전개.
그런데 무척 아쉽고 안타까움 점은
또한 역사는 당시 힘의 권력이 어떻게 작용해서 그 결과로 인한 당시대 사람들의 아픔도 함께 서술되어야 하는데
군산항구를 통한 일본인의 입장만을 긍정적으로 서술했다는 생각이든다.
재밌게 읽은 몇가지 이야기를 적어본다.
김해식 토기의 가야 바다, 김해이야기는
당시 가야 문화의 찬란함, 즉 당시는 노천에서 구워진 흙그릇은 누런색이나 검붉은 색인데
불가마를 만들어 구워내는 획기적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김해식토기는 반짝이는 검은색, 칠흑색이랍니다.
가야가 철의고장인건 아는데
김해가 한자로 쇠금(金) , 바다 (海), 쇠의 바다라는 뜻으로
김해가 최강의 도시엿다는 이야기죠.
또한 낙동강이라는 말에도 가야가 들어있답니다.
가야를 부르는 이름중에 ‘가락’
가‘락’의 ‘동’쪽에 있는 강이어서 낙동강이 된거랍니다. 두음법칙으로
이렇듯 사실적 조건에 역사적 풍경까지 첨가해 전개되는 이야기는 옛날이야기 보따리처럼 재밌답니다.
또한 처용이 도착한 울산항구이야기도
색다른 재미가있네요.
처용의 의미는 당시 신라의 다민족의 나라, 개방적이 나라였음도, 이슬람 페르시아쪽과도 긴밀한 유대관계가 있음직도
이방인의 입장에서 서술한 것도 재밌답니다
특히 당시 울산항구가 국제 항구였다는 이야기.. 2000년 중반에 울산 반구동에서 발굴된 신라의 항구 시설이
어떤 결과를 발표할지 궁금하네요.
고려청자의 강진, 꼭 한번은 다녀와야지 하는데
아직 못가본 곳이고
고구마와 감자의 유래로 시작되는 부산 항구이야기..
고구마가 첨엔 감저였다가 감자한테 이름을 뺏겼다네요.
군산세관이 들려주는 쌀과군산 항구이야기는 안타깝습니다.
요즘 국정화 망국사건으로 쌀수출이라는 망발이 유행인데
군산세관은 일제가 쌀수탈 항구로 만든 곳...
1908년에 군산세관이 완공된 이후 호남평야, 김제평야의 수만가마의 쌀이 일본으로 넘어가는데
마치 서술표현은 담담하게 수출되고 쌀주인은 누구고
일제는 호남의 쌀로 쌀값이 떨어지자 국민의 물가가 안정되고, 일본 경제를 살리는 밑거름이 됐다는 서술이 제3자의 이야기처럼 들린다
군산세관으로 수탈된 쌀 때문에 그럼 당시 우리경제와 우리 백성들은 어땠는지,
그 많은 쌀의 주인장이 어떻게 땅과 쌀을 샀는지는 서술되지 않고
사들였다고만 서술되었다.
이해되지 않는 표현이다.
장미동을 말은 들어봤는데 쌓을 藏, 쌀 米, 즉 쌀 곳간이란 뜻이구나...
일본측에선 쌀곳간이지만
우리측에선 쌀수탈고라는 생각이 든다...
역사책에서 잠깐 표현되는 항구나 현재적 항구나 이런 저런 역사적 상황이 사실근거 창작되는
재미는 있다. 군산세관의 내용 때문에 아쉬움이 크다.
요즘처럼 역사 제대로 아는게 중요한 시기에 더더욱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