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의 역설 - 관계, 사랑, 인생이 내 마음처럼 안 되는 이유
강현식 지음 / 유노책주 / 2022년 9월
평점 :
심리학 컬럼니스트이자 상담사로 활동하는 저자가 쓴 색다른 접근의 심리학 이야기
인간 이해를 넘어 갈대 같고 미로 같은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고 타자에게 설명하는 것은
고르 디우스의 매듭을 푸는 것 만큼 난해하고 내 중심마저 잃기 쉬운 일 같다.
그런데 거기에 또 역설이라니 .. 서로 상충하는 주장이 많은 심리학의 영역에서.
역설은 모순적이지만 깊은 이해와 통찰의 함축이 담긴 오묘한 영역 아닐까
그럼에도 역설을 이해하면 해법을 찾는 것은 풀릴 것 같지 않은 수수께끼가 시간이나 방법의
문제만 있는 어려운 문제로 변화 되는 듯 하다.
"사람마다 요청하는 도움과 호소하는 문제가 같더라도 사람마다 해결책이 다르다"
"긍정적인 사람들 속에 있기만 해도 대조효과를 통해 부정은 더욱 크게 지각된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책을 처음 접했을 때와 이후 그 말이 세간에 수시로 회자될
때마다 나는 고객만족, 고객감동이란 말이 주는 찝찝함과 부담감. 불쾌감을 느꼈다.
이런게 요즘 또 자주 회자되는 가스라이팅 아닐까 싶을 정도였다.
물론 웃는 낯에 침 뱉으랴는 격언대로 긍적의 효과도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먼가 이게 다일 수 없다는 .. 께림칙함이 늘 있어왔다.
여기 심리학의 역설이라는 책에서 그 점을 분명히 짚고 간다.
칭찬하면 반발하는 것도 인간
사랑해도 헤어지는 게 인간
배울수록 헛됨이 커지는 것도 인간
착해도 탈. 악해도 탈인 것도 인간
사촌이 땅을 사면 배 아픈 것도 인간
함께 있어도 외로운 인간
공산주의가 실패에서 확인한 통제할수록 무기력하는 인간
"공감은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이지, 상대방의 행동에 동의한다는 것이 아니다."
인간을 이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인간을 이해하면 인간에 대한 분노, 미움, 경멸, 적대감등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비움과 내려놓음을 처세철학으로 하는 불가의 가르침은 일견 설득력이 있으나 현실을 살아가는
속세인에게는 먼가 부족함이 있다.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윈윈게임을 할 수 있는
방식을 찾는 게 속세인의 더 현실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다. 어쩌면 이런 것도 수양이 아닐까..
인간을 이해하면 세상살이가 좀 더 편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