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와 제3제국에 대해 알켜주마.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러니까 그게 올 3월의 일이었는데... 친구를 기다리던어느 서점안에서의 일이었다. 평소답지 않게 약속시간이 일러 서점 안을 둘러보던 중 바로 이 책-칼의 노래-이 나의 눈에 띄인 것은 말 그대로 이 책이 나의 삶에 끼어들었다고 밖에 표현할 수 없는 것이리라. 뭐 처음부터 호감이 간 것은 아니었지만, 명장 중의 명장이요.7년 전쟁의 지배자인 이순신장군에 대한이야기야 신물나게 들었다고 착각하고 있었으므로..

하지만 이 책을 읽는 와중에 나의 선입견은 말그대로 착각이었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한 줄기 일자진으로 적을 맞으러 나가던 장군의 모습은 어떤 초인의 모습이 아니라 고뇌하고 두려움도 있는 한 인간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안위야, 니가 물러나면 살 것 같으냐.... 내 너의 죽음으로 살 길을 뚫으리니...' 같은 대목이 참....말로 하긴 어려운데 생생한 현장의 감동(?)이 느껴졌다.

한자리에서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도 모르게 책을 읽다보니 약속시간은 훨씬 넘었는데... 친구는 오지 않았다. 하지만 다행이었다. 신문에서 행간 읽는다고 나름대로 이 소설을 이순신'장군'이라는 한 인간을 통한 정유재란의 미시사적 해석이라는 해석을 내렸다.

발로 뛴 글쓰기-실증적 글쓰기-의 진수를 보여주신 김 훈씨에게 경의를 표하며 마지막으로 소설적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흔치않은 소설이라고 감히 평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를 위한 변명 - 숲길 3 숲길 3
마르크 블로크 지음, 고봉만 옮김 / 한길사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기실 근래에야 미시사-애널학파라고도 한다던-라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되었지만 입문서 내지는 지침서를 찾기가 힘들었다. 미시사가 아무리 역사의 한페이지를 살아낸 보통사람들을 역사의 중심으로 불러 올린 것이니 그 내용이 시시콜콜한 만큼-시시하다는 것은 아님- 분량또한 얼마나 엄청난 것인지... 섣불리 덤비기가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근래의 그 사생활의 역사만 하더라도 그 분량과 가격때문에 분루를 삼키고는 도서관에 구입신청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쓰라린 사연이 있었기에...

그런데 바로 그 날 바로 블로크의 이 감동적인 책을 발견하게 된 것은 역사라는 것의 원뜻 그대로 서가를 철저히 탐구한 소득이라고 하겠다. 제본도 산뜻하고 첫장부터 마음씨 좋게 생긴 표현그대로 선량한 프랑스인인 블로크의 사진 때문에 이 책을 읽기로 결심하게 되었던 것이었다.

제목부터 겸손한 이 책은 본문의 내용에서도 제목과 표리부동하지 않게 저자의 사상을 온건한 어조로 밀고나가고 있다. 마치 휘기는 해도 부러지지는 않을 버드나무의 유연함처럼 말이다.

하지만 저자의 온건한 어조 가운데에서도 한 줄기 서늘한 바람의 말이 있었으니 그것은 역사를 모르는 자 역사를 비판하지 말라라는 한마디의 정언명령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의 어조를 강하게 밀고나갈 수 있었던 것은 작가자신이 한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나가다가 결국은 산화하고 말은 자신의 인생의 그림자가 이 작품에 드리워 져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자신의 인생으로 보여주었었듯이 역사는 몇몇사람의 생각에 따라 변형되고 오판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는 변화의 과학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이 미완으로 끝났기에 아쉽다거나 한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원래 미완성의 미학이라는 것도 무시할 순 없는 부분이니까... 그러기에 악착같이 살아남아 이 책 완결 짓는 대신 선량한 프랑스인으로서 정당한 죽음을 맞이했으리라.

그것이 이 책을 위한 '디에스 이래'가 아닐까? 이 성가로 인해서 미시사라는 신생학문은 도약의 발판을 다진 것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