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길주 옮김 / 책만드는집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모양새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불행의 이유가 저마다 다르다.

 

이야기의 첫 시작을 알리는 문장이 의미심장하게 들렸다. 행복과 불행, 이 두 단어가 한 문장에 있을 때는 불행이라는 글씨에 강조점이 찍힌 듯 눈길이 한번 더 간다. 이 소설이 한 여성의 일생을 그린 소설이 아니라 불행한 가정의 여러 모습들을 말하겠구나 짐작이 가는 대목이었다.

 

톨스토이의 책은 이 책 말고는 단편집 2권을 읽은 것이 고작이었다.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서 추천도서로 나온 것을 보고 얼떨결에 산 게 1권이 아닌 2권이었고 2권을 읽어보고는 굳이 1권을 살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거다. 어찌됐든 톨스토이 하면 이 단편집 2권 덕분인 지 종교서적분야의 작가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그래서 안나 카레니나가 톨스토이의 저서라는 게 꽤나 신선하게 다가오기도 했다.

 

책을 받아보고 단숨에 끝까지 읽어버렸다. 톨스토이라는 작가가 참 사실적으로 글을 쓴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인물, 저 인물로 시점이 바뀔 때마다 각 인물들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었는데 종종 다른 소설 속에서는 완벽하다 못해 실제 세계에 존재할 수 없는 인물들이 곧잘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그런 경우가 없었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솔직하다 느낄 정도로 나약한 인간들의 군상을 볼 수 있었다.

 

책을 덮고 나서는 과연 이 책의 주인공이 안나가 맞는가, 레빈인 것 같은데 라는 의심을 멈출 수가 없었다. 레빈이 열렬히 키티를 연모했던 시작으로부터 청혼을 거절당하고 시골로 돌아가 귀족이지만 서민을 삶을 살고자 했던 시간들, 그리고 키티와 가정을 이루게 된 후의 모습들, 아주 잠깐 안나와의 만남을 통해 매혹당했던 장면, 결혼생활을 하며 신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는 과정들까지. 레빈으로 시작해서 레빈으로 끝나는 이야기처럼 보였다. 허나 지금 서평을 쓰며 돌아보니 저 첫문장이 다시금 떠오르며 생각이 정리된다. 톨스토이는 행복한 가정의 모습은 레빈의 가정으로 내세우고 그 이외의 불행한 가정들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이 모든 소설속 가정들에는 안나 카레니나라는 한 여자가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비참한 죽음을 끝으로 소설이 끝나기도 전에 사라져 버리는 안나가 가장 불행한 끝을 보여주는 인물이었다.

 

읽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이 부분이다. 레빈이 형이 죽어간다는 소식을 듣고 키티와 함께 형의 집을 방문한다. 죽음의 그림자, 어두움이 짙게 드리운 이 장면에서 키티의 몸 속에서는 새 생명이 자라나고 있다. 죽음, 영원한 이별은 참으로 견디기 힘든 일이지만 하늘은 또 다른 생명, 새로운 만남으로 우리를 위로하는구나. 어른이 되어가며 겪는 이별들로 인해 슬픔에 잠겨있는 내게 하늘로부터의 위로에 시선을 돌릴 수 있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