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서재 - 최재천 교수와 함께 떠나는 꿈과 지식의 탐험 우리 시대 아이콘의 서재 1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자의 서재>를 펼쳐들기 전, 

최재천 교수에 대한 느낌은 공부 많이 한 이웃집 아저씨 같은 느낌이었다. 

자연과학자로서 우리에게는 중,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개미와 말한다>, <황소 개구리와 우리말> 같은 작품으로도 유명한 그는

자신의 인생을 일컬어 통섭적 인생을 살았다고 한다. 

통섭이란 무엇인가?

이것저것이 통한다는 것이다. 

그의 교수 연구실이 통섭원으로 학생들과 교수들의 토론의 장이 되고 있는 것. 

시인이 되겠다는 꿈을 갖고 살다가, 미술도 좀 하다가 

나중에는 자연 과학자가 된 것!

자연과학자가 되어서도 학위를 따기 위해 한가지에만 몰두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알고 싶은 분야를 이것도 공부하고 저것도 공부하고 한 그.

자연과학자이면서 인문사회과학의 책들까지 읽고 서평을 쓰고, 

결국 넓은 의미의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책도 저술한 인물.

 

최재천 교수는 육군 장교의 큰아들로 강릉에서 태어나 노는 것도 엄청 좋아하고, 

책읽는 것도 좋아한 아이였습니다. 

꿈이 많아 갑작스럽게 참여한 백일장에서 장원을 하기도 하고, 

그 덕택에 시인을 꿈꾸기도 했죠. 

또한 방학 숙제로 해 간 비누조각 때문에 미술선생님에게 뽑혀

미술의 길로 갈 뻔도 했구요, 

대학에 두 번씩이나 떨어지고 들어간 서울대 동물학과에서 

과대표에 동아리 회장 문예부장까지 공부에 뜻이 없는 채로 방황하다가 

<우연과 필연>이라는 책 덕분에 생물학에 인생을 바치기로 합니다 .

거기에 스승을 만나 방황을 끝내고 지식을 탐험하기 위해 유학의 길로 들어섭니다. 

거기에서 제대로 공부하는 학생이 되어, 자신의 진심을 줄 수 있는 공부를 하게 되고,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으로 또 한번 인생의 전환점을 맡게 됩니다. 

지금은 행복한 과학자로 살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와,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책을 읽고 소통의 힘을 믿는 그...

이 책에서는 그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어떤 책들로 인생의 전환점과 도달의 계기를 만들어왔는지가 나옵니다.

그와 곁들여 최재천 교수가 알려주는 독서 레시피까지,

책과 함께 하는 인생은 진실을 찾아 끊임없이 노력하게 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청소년기에 읽으면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찾아 나아가는데 더욱 용기와 사기를 북돋아 줄 것 같아요.

아울러 책을 인생의 동반자로 여기게 되기도 하구요.

저 같은 30대 초반의 워킹맘에게도 다시 꿈을 생각하게 하고,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게 하는 자극이 된 고마운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