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부모들의 자녀 교육법 - 아이들을 하버드에 보낸 8인의 비밀노트
변윤숙 외 지음 / 물푸레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자식을 하버드에 보낸 부모들은 도대체 어떻게 교육을 시켰을지
그 교육법이 무척 궁금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러움도 무척 많았다.

유명한 서울대 문용린 교수의 추천도 한 몫을 단단히 했지만,

하버드에 보내기 위한 방법만이 아닌 어렸을 때부터 그들이 실천해 온

육아와 교육의 모든 방법의 좋은 점을 골라 우리 아이한테도 적용해 보고

싶은 마음이 앞섰기 때문에, 기대를 잔뜩 가지고서 이 책을 펼쳤다.

 보통 이런 책을 보면 본받아야 할 점을 찾기 보다는,

뭔가 자랑 일색인 것 같은 생각을 지울 수가 없는데,

이 책의 저자들(8인의 부모들)은 하나같이 그런 점을 경계하여,

어떻게 하면 많은 부모들에게 도움이 될 지를 생각한 것 같아 마음에 들었다.

그들 또한, 새벽에 일터에 나가면서, 택시 운전을 밤늦게까지 하면서,

아이들을 위한 정보를 열심히 찾아 모으면서, 온갖 뒷바라지를 열심히 한 부모들이기에,

충분히 이런 책을 낼 자격이 있는 것이다.

 

일단, 아이들 교육에 있어서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세심한 보살핌이 필요하다.

이 보살핌이란 것이, 그냥 부모가 모든 것을 도와주는 게 아니라,

알게 모르게 하는 서포트이다.

 

또한, 어렸을 때부터 습관 잘 들이기...책읽기나, 숙제 등등을 휘애,

습관을 쉽게 들일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흔히 아이를 하버드에 보내려면 우리 나라처럼 공부위주의 교육으로는 안 된다는 점은 많이들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적과 포트폴리오를 위한 봉사활동이나 클럽활동이 아닌,

아이들 스스로가 신이 나서 하는 여러 활동이 도움이 된다.

고등학생 정도 되면 학교에서 내는 과제와 공부의 양으로

이 책에 나오는 한 학생은 새벽 4시에 잠에 들고, 그마저도 불을 켜고 잤다고 한다.

그 정도로 공부할 양이 많은데, 봉사활동이나 클럽활동까지 여러개를 하려니 여간 힘든 상황이 아니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봉사와 클럽활동들을 하니,

스스로 견뎌내고, 여러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틈틈이 나와있는 미국에서 대학을 갈 수 있는 정보들이 나와있어,

미국의 하버드나 다른 대학들을 생각하시는 부모들을 위해 도움이 된다.

 

아직 네 살인 우리 큰 아이지만, 이 책은 엄마에게 하버드를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하지만 이 책으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단지 이 책의 저자인 부모들이 한 것처럼 열심히 뒷바라지 하고,

그 정보를 얻어 하버드에 가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 부모들의 열정과, 아이들이 그런 열정을 갖게 만드는 부모의 노력의 힘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통해 오늘도 흐트러진 부모로서의 나를 바로잡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