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기봉을 찾아라!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ㅣ 작은도서관 32
김선정 지음, 이영림 그림 / 푸른책들 / 2011년 1월
평점 :
아동문학과 청소년 문학에 빠져있는 나에게 언제부턴가 '팔은 안으로 굽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읽을 책을 찾을 때, 특히 학교 이야기에 관한 책을 찾을 때, 현직 교사가 쓴 책을 찾는다는 점이예요. 명백히 말하면 내가 교사라서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현직 교사 출신 작가들이 쓴 책을 보면, 현장의 사실성과 사건 하나하나에 대한 공감이 거의 100%에 달하기 때문에, 또 요즘같이 나날이 변해가는 시대에 어디보다 현실과 유행에 민감한 아이들이 있는 곳이 바로 학교이기 때문에 나에게는 읽는 재미를 더해주기 때문이죠. 물론 우리 아이들도 자신의 학교생활과 비교해 가며, 재미를 찾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 8회 푸른문학상 "새로운 작가상"을 수상한 김선정 선생님의 "최기봉을 찾아라"
이제껏 읽어본 학교 이야기 중에 가장 재미있는 책인 것 같아요. 만화책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추천해도 단숨에 아이들이 읽기를 끝낼 것 같은 이 책은 최기봉 선생님이 제자로부터 도장을 2개 선물받으며 시작합니다. 현재 가르치고 있는 제자들 이름조차 기억 못하는 최기봉 선생님은 도장을 준 제자도 기억하지 못합니다. 어쨌든 아이들에게 청소하기 벌을 주는데, 도장 덕분에 더욱 철저해진 최기봉 선생님에게 주로 걸리는 세아이.
까불이 두식이들(형식이와 현식이)과 걸레질의 여왕 인간세탁기 공주리.
그리고 등장하는 인물들 최기봉 선생님을 싫어하는 것 같은 유보라 선생님과 박 기사 아저씨.
사건은 도장이 도둑맞으면서 시작합니다. 도둑맞은 도장으로 범인은 깔끔한 교장 선생님이 페인트칠을 시킨 새하얀 벽,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심지어 결재판 교장선생님란까지 군데군데 찍히며 문제를 일으킵니다.급기야 두식이들과 공주리를 의심하는 최기봉 선생님은 범인을 잡기 위해 이 세명에게 도장 특공대를 결성하고 이들은 도장이 찍힌 곳을 지우는 것 뿐만 아니라 범인을 추리하기도 합니다.
이 과정 중에 형식이가 박 기사 아저씨 아들이라는 것도 알게 되고, 또, 범인을 보게 된 유보라 선생님 덕에, 범인은 공주리라는 것을 알게 된 최기봉 선생님, 또 한 가지 사실, 도장을 보낸 사람이 최기봉 선생님의 옛 제자 유보라 선생님이라는 사실 또한 알게 됩니다. 최기봉 선생님, 유보라 선생님, 공주리까지 관심이 부족한 세 사람은 이 일을 계기로 아마 세상에 마음을 열게 되었을 거예요.
이렇듯 우리 사회에는 관심받지 못해, 남에게 관심을 주지 못하는 어른들,
관심과 인정을 받고 싶어 잘못된 방법으로 시위하는 아이들까지 타인의 관심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들에게 조금만 관심을 갖고, 서로를 알게 되면, 이 사회에 왕따 같은 문제들도 나타나지 않을 텐데요. 그러고 보니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자신의 이름을 틀리게 선생님이 틀리게 부르면 어찌나 붉으락푸르락인지...
그 또한 선생님의 관심이 필요한 아이들의 표현인 것을 깨닫게 되네요.
서로에게 관심주는 따뜻한 세상이 우리 아이들에게도, 어른들에게도 필요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