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삼국유사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16
강숙인 지음, 일연 원저 / 네버엔딩스토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 삼국유사] 그 매력적인 이야기 속으로

  그래서 많은 작가들이 "이야기 삼국유사"란 제목으로
삼국유사의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추려 수없이 많은 책이 시중에 나와있다.

 그 많은 "이야기 삼국유사"들 중에 강숙인 작가의 "이야기 삼국유사"는
책 자체로 읽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상상력과 감정을 필요로 한다. 삼국유사 완역본이나 해설서를 읽다보면, 뭔가 깊은 속내가 있을 것 같은데, 절제된 이야기 속에 혼자 여러가지 상상을 해 본다. 강숙인 작가의 "이야기 삼국유사"는 그런 상상을 책 속으로 끌어 내었다.

  이 이야기는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 삼국유사 새로 읽기]에 실린 다섯 편의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여성독자가 읽기에 가슴아린 이야기들이 있어 더 정이 간다. [제2부 삼국유사 그대로 읽기]에는 삼국유사속의 재미있는 이야기들만 쏙쏙 뽑아놓은 것 같다. 우리가 익히 많이 들어왔던 이야기들을 다시 읽을 수 있는 또다른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작가가 새롭게 풀어쓴 1부가 더 재미있었던 것 같다.

  우리가 흔히 눌지왕의 두 아우를 구해온 박제상에 대한 이야기로 충절을 강조할 때 많은 예시로 삼는다. "그리움은 바다건너" 삼국사기에는 박제상이라고 나오지만, 삼국유사에는 김제상이라고 나온다. 예전에 그 이야기를 읽었을 때에나 "이야기 삼국유사"를 읽는 지금이나,
김제상의 왜왕의 강압에도 신라에 대한 충절을 잃지 않고 했던 한마디,
"차라리 계림의 개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될 수 없다. 차라리 계림의 매를 맞을지언정 왜국의 벼슬과 녹은 받을 수 없다." 는 가슴속에 뜨거운 애국심을 솟아나게 한다. 왜국에서 갖은 고문 끝에 처참히 죽어간 김제상도 안타깝지만 더 안타까운 것은 그를 바라보다 망부석이 된 그의 부인인 것은 내가 여자이기 때문일까?
  "보희가 깨달은 것"에서는 김춘추와 문희의 사랑 이야기로만 알고 있었던 것을 이 책에서는 보희의 관점에서, 보희가 원래 김춘추와 먼저 서로 좋아했으나 2번의 기회를 (옷을 꿰매줄 기회와 꿈)동생에게 넘긴 것은 운명적 사랑을 믿고 싶고 사랑에 자신감이 있던 당찬 여자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하지만 요즘은 사랑도 쟁취하는 것이라고 문희가 더 자신의 사랑을 위해 최선을 다했던 것이 아닐까? 필자는 문희가  결국엔 김춘추의 첩이 되어 자신의 사랑을 이루었고, 또 김춘추와 누가 더 행복한 사랑을 지속했는지는 모르는 것이라고 새롭게 해석한다. 결국엔 역사에 드러난 승자는 문희지만, 그 속내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어서 우리의 상상속에 재탄생할 수도 있는 이야기가 과거의 이야기,삼국유사인 것이다. 
  딱딱한 고전이라는 편견을 갖고 있는 많은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준 "이야기 삼국유사",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얇은 한권을 앉은 자리에서 끝내버린 시간이 결코 짧지만은 않았던 탓은 삼국시대 다양한 이야기 속을 헤매고 다닐 수 있었던 긴 여행의 기회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